일본군이 위안부 동원·운영 직접 관여 증거 나왔다…1937년 中문서 공개
입력 2014-02-09 19:25 수정 2014-02-10 07:14
[쿠키 지구촌]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를 강제 동원하고 위안소를 운영하는 데 직접 관여했다는 단서가 되는 공식 문건이 한·중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보상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위안부 문제 논의의 새로운 전기가 될지 주목된다.
한혜인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은 8일 중국 상하이시(市) 구이린로에 있는 상하이사범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중국·일본 학술회의’에서 상하이 당안관(국가기록보관소) 소장자료 분석을 통해 1937년 상하이에 진주한 일본군이 위안부 동원과 위안소 개설에 직접 관여한 공문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표적인 문서로 상하이 당안관에 소장된 ‘시민(중국인) 양수이창(楊水長)이 푸상(浦上)로 6번지에 개설한 위안소 상황에 대한 안건(R-3-134)’을 들었다. 이어 39년 2월 25일 상하이경찰국장이 상하이시장에 보고한 이 공문서는 양수이창이 위안소 개설을 위해 당시 상하이를 점령한 일본군 헌병대와 육군경비대에 행정 허가를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안소는 중국인이 드나들지 못하는 ‘일본군 전용’이었으며 통역과 15세 여성을 포함한 7명의 위안부를 고용해 운영됐다. 한 연구원은 “이런 문서는 일본군이 중국 괴뢰정부를 이용해 군 위안소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제도를 만들어갔다는 것을 확인해준 것”이라고 말했다.
샤베이 난징 당안관 책임자도 38년 일본 강점기 괴뢰정부의 위안부관련 공문서를 통해 일본군이 위안소 운영에 직접 나선 것으로 파악했다고 가세했다.
이번 학술회의에 참석한 한·중·일 학자들은 흩어져 있는 일본군 위안부 사료를 모아 인터넷사이트에 공개하고 자료를 정리하기 위한 협력과 교류를 진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일본군 위안부 기록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적극 나서기로 했다. 유네스코는 세계적으로 영향이 있는 인류의 중요한 기록물을 2년마다 선정해 등재하고 있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이신철 성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 부핑 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후지나가 다케시 일본 오사카산업대 교수 등이 한·중·일 대표로 참석했다. 후지나가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 시기 여성의 잔혹한 인권침해 문제이자 보편적인 인류 양심에 관한 문제”라며 “일본은 마땅히 사과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