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부, 美 정치권 대상 軍 위안부 조직적 로비
입력 2014-02-08 01:31
일본 정부가 미국 정치권을 상대로 로비 업체까지 고용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조직적인 로비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의회전문 매체 ‘더힐’은 6일(현지시간) 일본 정부가 워싱턴DC의 ‘호건 로벨스’와 ‘헥트 스펜서 앤드 어소시어츠’ 등 최소 2개의 로비 업체를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 정치권의 움직임 등을 면밀히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미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호건 로벨스에 2012년 9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52만3000달러(약 5억6400만원)를 지급했고, 헥트 스펜서 앤드 어소시어츠에는 같은 기간 19만5000달러(약 2억1000만원)를 준 것으로 확인됐다.
호건 로벨스가 법무부에 제출한 문건은 지난해 7월 공화당 의원들이 400여명의 재미 한인단체 지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 발언 등 구체적인 로비활동 내역을 담고 있다. 문건에는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이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을 언급하면서 위안부와 관련한 발언을 했지만, 일리애나 로스 레티넌(공화·플로리다) 하원의원은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호건 로벨스는 비슷한 시기에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과 로이스 위원장 등이 ‘종군위안부 결의안’ 통과 6주년 행사에서 한 발언 등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미국 내 일부 지역의 위안부 관련 광고, 법안, 기념비 등에 대한 자료도 수집한 것으로 밝혀졌다.
헥트 스펜서는 이와 별도로 지난해 5월 로이스 위원장이 하원 회의장에서 하시모토 오사카 시장의 위안부 모욕 발언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한 연설 내용 등도 보고했다.
한인시민참여센터(KACE)의 박제진 변호사는 더힐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법’을 막으려 했지만 통과되면서 침묵을 지키고 있다”면서 “이들은 위안부 문제를 애써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 의회는 지난달 위안부 내용이 포함된 세출법안을 통과시켰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서명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