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료 고통 ‘렌트푸어’ 서울에만 27만∼31만 가구
입력 2014-02-08 01:32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느라 소득의 대부분을 지출해 경제적으로 쪼들리는 가구를 의미하는 ‘렌트푸어(rent-poor)’가 서울에만 27만∼31만 가구 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연구원이 7일 공개한 ‘렌트푸어 이슈에 따른 서울시 대응방안’ 보고서를 보면 서울에서 주택임대료와 보증금마련대출 원리금상환액을 합한 것이 소득의 30%를 넘는 렌트푸어는 약 26만7000가구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전세의 월세 전환이율은 3.18%를 적용한 것이다.
임대료와 원리금상환액을 지출하고 남는 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경우도 31만1000가구로 서울 전체가구의 8.8%가량 됐다.
임대 유형에 따른 소득 대비 임대료 부담은 월세(보증부 월세)가 20.06%이고 전세가 11.07%로, 월세가 더 부담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렌트푸어는 주로 월세로 거주하는 저소득층이었다. 임대료 비율 기준에 따른 렌트푸어의 62%는 저소득층(소득 10분위 중 4분위 이하)이었다. 그러나 7분위 이상의 고소득층도 약 20%를 차지했다.
특히 잔여소득 방식의 렌트푸어는 저소득층이 9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박은철 연구위원은 이를 근거로 “소득 중 주거비용이 차지하는 비율로만 렌트푸어를 정의해 지원하게 되면 저소득층이 되레 지원 대상에서 배제될 수 있다”며 “렌트푸어 지원대책을 검토한다면 소득 중 임대료 비율과 임대료 지출 후 잔여소득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주택가격 하락과 저금리가 맞물려 2015년부터는 임대료 부담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월세의 비중이 전세를 앞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