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한·미 연합훈련 중지 요구… 이산 상봉 재고 시사
입력 2014-02-07 03:51
북한 국방위원회가 6일 이산가족 상봉 합의 이행 재고를 시사하며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지를 요구했다. 우리 정부는 이를 즉각 거부했다. 이에 따라 전날 합의된 상봉 행사 무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방위는 정책국 대변인 성명에서 “치열한 전쟁마당에서 이뤄진 회담과 대화도 그때에는 불과 불이 오가는 대결행위를 멈추고 진행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방송이 보도했다.
국방위는 “판문점에서 흩어진 가족, 친척들의 상봉과 관련한 합의를 이룩해 나가는 그 시각에 괌도에서 끌어들인 미국의 B-52 핵전략폭격기 편대들이 조선 서해 직도 상공에서 하루 종일 우리를 겨냥한 핵 타격 연습에 돌아치게 했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어 “지난 시기 전쟁으로 인하여 흩어진 가족, 친척 상봉 행사를 위험천만한 핵전쟁 연습 마당에서 치른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고 위협했다. 국방위는 최고 존엄 모독에 대해선 최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애육원 방문 등을 비난한 남한 언론 보도를 문제 삼았다.
정부는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의 긴급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정부 입장에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한 지 불과 하루 만에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위협하는 것은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행동으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키 리졸브와 독수리 연습은 연례적이고 한반도 방위를 위한 방어 성격의 훈련”이라며 “이산가족 상봉과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그동안 인도주의적 사안인 이산가족 상봉을 대남 압박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남북관계를 주도할 카드로 사용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이 국방위 성명을 발표한 후 판문점 연락 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가할 북측 대상자들 명단을 통보했다는 점에서 예정대로 상봉 행사가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아직은 우세하다. 우리 측과 북측은 각각 85명과 95명의 상봉 대상자 명단을 교환했다. 현지 시설을 점검할 우리 측 실무점검단도 예정대로 7일 금강산을 찾을 예정이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