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칼끝 기업서 공공기관으로… 체육단체 10곳 비위 수사 착수
입력 2014-02-06 03:51
‘김진태호(號) 검찰’의 특별수사라인이 본격적인 공공기관 비위 수사를 위해 ‘워밍업’에 들어갔다. 첫 타깃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수사의뢰한 각종 체육단체 비리 사건이다. 지난해 CJ 효성 LIG 등 대기업 수사에 역량을 집중했던 검찰은 이번 수사를 계기로 공기업을 비롯한 공공기관 비위 수사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5일 체육단체 10곳의 비위 사건을 일선 검찰청에 배당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전국 검찰청 특수라인을 지휘하는 대검찰청 반부패부가 직접 사건을 검토한 후 일선에 수사를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대 특별수사부서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2부가 각각 대한배구협회와 대한야구협회 비위 사건을 배당받았고 각 지방검찰청 특수라인도 관련 수사에 나섰다.
이를 두고 김진태 총장 취임 이후 숨고르기를 하던 검찰 특수라인이 공공부문에 대한 본격 사정작업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신년 구상을 밝히며 “공공부문 개혁을 시작으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비정상적 관행을 정상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검찰 내부에서도 정권 차원의 공기업 개혁을 지원하는 데 향후 수사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 검찰 간부는 “지금 성과를 장담키 어려운 ‘살아 있는 대기업’ 수사에 나서긴 어려워 보인다”며 “당분간 특수부 수사의 타깃은 공기업 등 공공기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특히 김 총장은 일회성 수사가 아닌 구조적으로 만연한 비리를 찾아내고 공공부문 비리 첩보 활동을 강화토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에서는 방만한 경영에 막대한 부채를 갖고 있는 일부 공기업이 내사 대상에 올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문화부는 앞서 2099개 체육단체 특별감사를 벌여 377건 비위를 적발하고 지난달 10개 단체를 수사의뢰했다. 대한배구협회는 부회장 2명이 회관 건물 가격을 부풀려 매입해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대한야구협회는 일부 직원이 2012년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 사업비를 중복 정산해 7억여원을 가로챈 의혹이 제기됐다. 서울동부지검은 대한배드민턴협회·대한공수도연맹·대한복싱협회, 수원지검은 경기도태권도연합회, 울산지검은 울산시태권도연합회 수사를 맡았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