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지방대 특성화에 5년간 1조 투자
입력 2014-02-06 02:34
지방대 특성화 사업에 5년간 1조원 이상의 정부 지원금이 투입된다. 교육부 나승일 차관은 5일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발표하며 “지방의 명품대학, 명품학과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사업 예산은 1910억원의 특성화 사업비에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비 100억원, 사업관리비 21억원이 더해져 총 2031억원이다. 사업 유형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특정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대학자율’, 인문·사회·자연·예체능 계열 및 국제화 분야를 별도로 지원하는 ‘국가지원’, 지역 연고 산업과 연계한 ‘지역전략’ 등 3가지로 나뉜다.
학생 수와 학교 수를 감안해 배정된 지역별 지원금은 충청권이 567억원으로 가장 많다. 대구·경북·강원권에 492억원, 부산·울산·경남권에 451억원, 호남·제주권에 400억원이 각각 배정됐다. 사업단 평가지표는 기본여건(15점), 제도혁신 및 사업단 지원계획(15점), 특성화 여건(35점), 특성화 계획(35점)을 합산해 평가한다. 평가점수와 별도로 대학 구조개혁과 연계된 정원 감축(5점)과 대학 등록금 동결·인하 정도(2.5점)에 따라 최대 7.5점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사업단 참여 대학들이 최대 가산점을 받기 위해 10% 이상 정원 감축을 시행하면 최대 1만4000명 지방대 정원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수도권 대학까지 포함할 경우엔 특성화 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대학 입학 정원이 최대 2만명 가량 감축될 수 있다.
교육부는 17∼19일 권역별 사업 설명회를 열고 4월 말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마감해 6월에 사업단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세종=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