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2월 20∼25일 금강산서 이산가족 상봉… 실무 점검단 2월 7일 금강산行

입력 2014-02-06 02:33

남북은 오는 20∼25일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했다.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모멘텀(동력)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남북은 5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합의서를 채택했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2010년 10월 이후 3년4개월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리게 됐다.

우리 정부는 행사 날짜를 당초 17∼22일로 제의했지만 북한의 요구를 수용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내부 사정을 이유로 우리가 제의한 일자보다 사흘 뒤부터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는 입장을 밝혔고 우리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대신 상봉단 숙소는 우리 정부가 요구한 대로 금강산호텔과 외금강호텔로 확정됐다. 상봉자 규모는 남북 쌍방 각 100명으로 하되 지난해 9월 추석 상봉 추진 때 교환한 명단에 있는 이들을 대상자로 하기로 합의했다. 상봉 행사 준비를 위한 우리 측 실무 점검단은 7일 금강산으로 들어간다. 현지에서 행사를 진행하는 우리 선발대는 상봉 시작 5일 전에 파견된다.

남북은 또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 뒤 다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고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우리 측에서는 이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국군포로 및 납북자 문제 등을 제기할 예정이다.

우리 측은 실무접촉에서 상봉 예정일 직전 북한의 일방적 조치로 무산된 지난해 추석 상봉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이 같은 일이 재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북측도 이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

우리 측 실무접촉 수석대표를 맡은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은 브리핑에서 “정부는 그동안 이산가족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위해서 일관된 입장을 가지고 노력해 왔다”며 “이에 북한이 호응해온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남북관계 개선의 첫 단추인 이산가족 문제에 진전이 있으면 다른 문제도 앞으로 협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