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학기 초·월요일 가장 많다…시간대별로는 정오·오후1시
입력 2014-02-05 02:32 수정 2014-02-05 07:54
학교폭력이 학기 초, 월요일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는 모두 학생들이 방학이나 휴일 직후 학교 가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주목된다.
4일 한신대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강남훈 교수)이 경기도교육청 의뢰로 작성한 ‘학교폭력 패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에서 2007년 3월∼2013년 6월 발생한 학교폭력 1만64건을 분석한 결과 학교폭력이 가장 많은 달은 3월(15.3%·1538건), 4월(14.5%·1459건)이었다. 이후 점차 줄어 여름방학인 7월(6.6%·665건), 8월(5.2%·520건) 감소했다가 2학기가 시작되는 9월(10.3%·1040건) 반짝 증가했다.
요일별로도 월요일이 2065건으로 가장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점심시간인 정오와 오후 1시가 각각 1255건(12.5%)과 1282건(12.7%)으로 최대를 이룬다. 이어 학교를 마친 오후 3시와 4시에 각각 1008건(10.0%), 1119건(11.1%)으로 다시 증가했다.
연구팀은 “학기 초, 월요일과 금요일, 점심시간 직전과 종례시간에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예측했다.
중2가 제일 무섭다는 말도 입증됐다. 초·중·고별 학생 1만명당 학교폭력 수는 초 5.0건, 중 155.5건, 고 55.7건이었다. 중2가 동급생에게 가해한 경우가 1694건으로 가장 많고 중1이 동급생에게 가해한 경우가 1425건으로 그 다음이었다. 육체적으로 부쩍 성장했으나 정서적으로는 불안정한 사춘기인 중2때 폭력성이 심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가해자의 12.4%는 이전에 가해 경험이 있어 특별한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유형별로 보면 폭행 6574건(68.3%)이 압도적이었고 금품 2043건(21.2%), 모욕 554건(5.8%), 성추행 310건(3.2%) 순이었다. 이번 분석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NEIS) 자료를 토대로 이뤄졌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