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중국어 교육도시 조성… "입학생 있을까?" 논란
입력 2014-02-03 14:15
[쿠키 사회] 제주도가 영어교육도시에 이어 중국어 교육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그러나 중국어 교육도시를 조성할 경우 입학수요가 있을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도는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제주 중국어 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수요분석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
도는 용역결과 입학수요가 있고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법 제도 개선을 통해 중국어 교육도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발전연구원이 제시한 용역 중간보고서는 중국어 교육도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경제효과는 공립학교 1개교 조성 시 생산유발 효과 620억여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79억여원 등으로 추산했다. 소비증대 효과는 1000명을 가정했을 경우 생산유발 효과 연간 79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1억원으로 전망했다.
운영효과에 있어서도 학생 1000명을 기준으로 연간 생산유발효과 46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0억원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서울·경기·부산·경남·제주지역 학부모 9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중국어 교육기관의 입학 수요 예측치가 최소 2만7837명에서 최대 9만1286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어 교육기관의 연간 수업료 및 기숙사비가 각각 2000만원과 2500만원, 3000만원일 경우 입학 수요는 5만1353명과 5만177명, 4만6628명으로 추산됐다. 비용이 높아질수록 수요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중국어 교육도시 조성이 필요하며 제주도와 정부 차원에서 법·제도 개선 및 중국 내 명문학교 유치 전략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중국 전문가들은 보고서의 결론에 대해 현실성 측면에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요가 많을 것이란 전제 하에 공립학교 1개교 유치 시 생산유발효과나 소비증대 효과, 운영효과 등을 추산, 경제적으로 큰 실익이 있을 것이란 측면만 집중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