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여야 고민은…] 야권 서울↔경기·부산 빅딜설

입력 2014-02-03 01:33

3월 창당을 앞둔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최근 “6·4 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를 무조건 내겠다”고 거듭 강조하자 민주당 내에선 ‘빅딜설’이 떠돌고 있다. 안 의원의 강공 모드가 경기도지사·부산시장 후보를 양보하라는 은근한 압박 메시지라는 해석이다. 윤여준 새정치추진위원회 의장은 2일 빅딜설을 포함한 야권 연대에 대해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라면서도 “우리로서도 딜레마”라고 표현했다. 뒷거래식 단일화에 대한 국민의 비판적 시각에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다.

◇암묵적 연대설 ‘솔솔’=경기도 지역구의 민주당 한 중진 의원은 “안 의원이 서울시장 후보를 내서 득을 볼 게 없는데 후보를 내겠다는 데는 이유가 있다”며 “결국 경기·부산을 달라는 속내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안 의원 측엔 당선 가능성이 있는 서울시장 후보가 없음에도 민주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의 재선을 막는 듯한 발언을 쏟아내는 배경이 ‘빅딜’을 염두에 둔 것이란 얘기다.

민주당은 안 의원이 “17곳의 광역단체장 후보를 전부 내겠다”고 공언한 발언도 같은 맥락으로 보고 있다. 안 의원이 호남을 제외하고 민주당 현역 단체장이 있는 서울·인천·충남·강원 등에서 후보를 낼 경우 야권 표를 나눠 가져 패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을 뺀 경기·부산에서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길 원한다는 것이다. 한 3선 의원은 “안 의원 측 경기도지사·부산시장으로 거론되지만 아직 결단을 하지 않은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우 ‘김두관 전 경남지사 모델’을 원하고 있을 것”이라며 “사실상 신당 인사이나 무소속으로 출마해 야권 전체가 밀어주는 방식이 그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민주당에서조차 이런 설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다. 경기도지사에 출사표를 낸 민주당 원혜영 의원은 “이제 나눠먹기는 명분도 없고 국민도 곱게 보지 않기 때문에 주고받는 연대는 안 된다”며 “누가 경쟁력이 있는지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지난달 29일 KBS 라디오에 나와 “암묵적 연대로는 국민의 마음을 얻기 힘들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安, 정말 서울시장 후보 낼까=안 의원 측은 이 같은 민주당 구상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못 박았다. 한 핵심 관계자는 “특정 지역이 민주당의 것도, 신당 것도 아닌데 달라, 마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하나의 정당으로서 후보를 내는 건 당연한 일이고, 대선 때 연대로 실패한 안 의원도 이번만은 3자 구도로 끝까지 갈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이자 꽃으로 불리는 서울시장을 내는 건 당연한 일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진영 내부에서도 이견은 있다. 2011년 보궐선거에서 박 시장을 지지했던 안 의원이 어떤 이유로든 후보를 내 박 시장 낙선 결과를 가져오면 책임과 비난을 피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윤 의장은 “기본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고 하지만 많은 국민이 받아주면 그 길을 가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그때 가서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며 막판 빅딜 가능성을 열어 놨다.

현재 안 의원 측은 이번 지방선거와 관련해 최소 2곳에서 최대 5곳 당선으로 보고 있다. 최상의 시나리오는 수도권·호남·영남에서 각각 1곳 이상 승리다. 그렇게만 되면 전국 정당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다 대전·충북도 상당히 공을 들이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