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브리핑] 美 추가 테이퍼링 후폭풍 주목

입력 2014-02-03 01:31

설 연휴로 잠시 쉬어 갔지만 이번 주 국내 금융시장의 앞길은 여전히 험난할 전망이다. 신흥국 금융위기가 갈수록 확산 일로여서 코스피 지수나 원화 환율에 악재가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주 뉴욕증시에서는 신흥국에 대한 불안감으로 다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모두 떨어졌다. 3대 지수는 1월 한 달 동안 최대 5.3% 내려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9일 양적완화 추가 축소를 현실화시킨 뒤 러시아의 루블화가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는 등 신흥국 위기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특히 신흥국 금융 불안 현상이 경제 기초체력이 취약한 국가에서 기초 체력이 양호한 헝가리, 폴란드 등 신흥국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신흥국들이 기초 체력을 강화하고 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내놓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투자자들은 “신흥국들이 자국 통화가치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려고 기준금리 인상과 외환시장 개입에 나서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국의 1월 고용동향도 주목된다. 미국의 고용동향은 신흥국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양적완화 축소 속도 조절의 주요 변수다.

연준은 고용동향이 악화되지 않는다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예정대로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시장은 미국의 1월 신규 취업자가 18만8000명에 달하고 실업률은 6.6%로 0.1% 하락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 여기에 오는 7일로 시한이 도래하는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한도에 대한 협상 동향도 시장의 관심이다.

물론 신흥국 금융위기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여전히 많다. 지난해 중순 이후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한 ‘버냉키 쇼크’의 학습효과 때문이다. 당시 인도,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등의 금융위기가 부상했지만 한국 증시는 오히려 외국인의 최장기간 순매수 랠리가 나타나면서 차별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낙관은 금물이다. 양적완화 축소 이슈가 항상 우리 자본시장에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지난해 12월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발표가 임박한 시점에서 우리 증시 하락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컸다. 여기에다 국내 수출경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 경제의 둔화 조짐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점은 우리 시장에 큰 시련이 될 수 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