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유출’ 민심은… 500명에 물었더니
입력 2014-01-29 02:33
“현오석 발언 가장 기분 나빠” 19%
피해자 중 96%가 “2차 피해 걱정”
설을 앞둔 민심은 신용카드사 정보유출 사태로 인한 공분(公憤)과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관련자들의 대국민 사과와 매일 발표하는 재발 방지책에도 국민적 분노는 증폭되고 있다.
국민일보는 박근혜 대통령이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한 다음날인 28일 국내 1위 모바일 리서치 서비스 ‘오픈서베이’와 함께 정보유출 사태 이후 국민 인식을 설문조사했다. 설문에 응한 598명 중 544명(91.0%)이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를 도둑맞은 이들 중 500명을 다시 설문한 결과 절대 다수인 482명(96.4%)이 2차 피해를 걱정하고 있었다. 472명(94.4%)은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카드사들이 정신적 손해배상에 나서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스스로 따진 적정 보상액은 평균 40만1300원이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 원인과 책임으로는 440명(88.0%, 중복 응답)이 ‘보안 관리를 부실히 한 카드사’를 꼽았다. 307명(61.4%)은 ‘금융회사 감독을 못한 금융 당국’을, 180명(36.0%)은 ‘정보를 빼낸 신용평가사(KCB) 직원’을 선택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처럼 사태의 원인을 ‘정보를 맡긴 금융소비자 각 개인’에서 찾은 응답자는 9명(1.8%)에 머물렀다.
국민적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처 태도를 묻자 355명(71.0%)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사고로 국민이 가장 기분 나빠한 부분에는 “우리 모두가 정보 제공에 동의했다” “어리석은 이가 책임을 따진다”고 한 ‘현오석 부총리의 발언’(97명·19.4%)이 꼽혔다. 현 부총리는 ‘2차 피해가 없다고 안심시킨 정부’(19.2%), ‘안일하게 개인정보를 관리한 카드사’(17.2%), ‘카드 복제와 예금 인출 등 2차 피해 불안감’(16.4%)보다 큰 분노를 샀다.
사고 발생 카드사들과 거래를 계속하겠느냐는 질문에는 370명(74.0%)이 ‘이미 탈퇴했거나 향후 금융 거래를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이번 설문은 오픈서베이의 28만 패널 가운데 성별·연령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임의할당 추출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38% 포인트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