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치범에 몸값 주지 말라” 유엔 결의안 채택

입력 2014-01-29 01:38

유엔이 알카에다 테러조직이나 소말리아 해적 등이 인질을 볼모로 보상금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해 ‘몸값’을 지불하지 말라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15개국으로 구성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27일(현지시간) 인질 석방 조건으로 납치범들이 몸값을 요구할 경우 응하지 말도록 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마크 라이얼 그랜트 유엔 주재 영국대사는 “인질이 테러조직 재정의 주요 원천”이라며 “지난 3년6개월 동안 알카에다 연계 그룹과 테러조직이 몸값으로 최소 1억500만 달러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랜트 대사는 “이번 결의는 인질이 테러범들의 수익 활동으로 더 이상 인식되지 않도록 국제사회가 단결해야 한다는 확고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193개 유엔 회원국은 테러리스트들의 요구에 굴복해 몸값을 주거나 정치적 양보를 해서는 안 되고, 민간 부문도 유엔의 납치 방지와 납치 대응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설득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결의는 유엔 193개 회원국에 구속력이 있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국가에 대한 제재는 없다. 각국이 테러단체와 정치적 협상을 할 때 인질의 몸값 지불을 하지 않도록 국제사회의 압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테러방지 결의를 채택했으며, 미국과 영국은 이에 따라 테러조직의 인질 몸값 요구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