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대학별 총장 추천제' 지역차별 논란

입력 2014-01-27 16:53

[쿠키 사회] 삼성그룹이 올해 신입사원 선발 때부터 도입하는 ‘대학 총장 추천제’가 지역·대학 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해묵은 지역차별을 부추기고 전국 200여개 대학의 줄세우기를 고착화한다는 논란이 커지는 상황이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2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삼성이 광주에 가전사업부를 두고 지역경제에 공헌한 데 대해 시장으로서 감사드린다”고 운을 뗀 뒤 “삼성그룹의 대학 총장 추천제는 배려와 균형, 특히 사회 약자에 대한 공생정신이 많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서울과 각 지방 대학별 추천인원을 일일이 거론한 뒤 “삼성이 왜 이렇게 불균형하게 했을까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의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삼성그룹은 대학 총장 추천제가 학벌과 스펙 중심의 채용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했지만 대다수 여론은 긍정적이지 않다”며 “대학의 서열화, 지역 및 여성차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고 강조했다.

시의회는 이어 “경북대 100명, 부산대 90명 등 영남권에 비해 전남대 40명, 전북대 30명 등 호남권 대학은 상대적으로 추천인원이 적다”며 “이공계 채용비율과 관련 학과 우대에 따른 것이라고 삼성은 설명하지만 지방대 간 격차는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도 광주지역 기자들과 간담회에서 “삼성의 편파적 대학총장 추천제는 결국 자신들이 투자한 성균관대와 연고가 있는 영남지역 대학에 대해 보은하고 나머지 대학을 차별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교육적으로 잘못된 대학 총장추천 제도를 취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의 대학별 인원배정으로 대학 줄세우기와 호남차별론에 대한 말들이 많다”며 “‘삼성고시’로 불리는 채용시험에까지 차별론이 등장하는 건 젊은이들에게 너무 가혹하다. 차별없는 사회, 불평등이 대물림하지 않는 사회가 언제 가능할까요”라는 글을 올렸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토론회 등 지방대학 출신의 취업문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펼쳐지고 있는 마당에 삼성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이 의원은 “삼성의 계획은 되레 지역의 균형인재 육성과 무관한 방향으로 가고 있어 유감”이라며 “삼성은 세계적인 기업답게 인재육성에 배려와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에 앞장서야 할 대기업이 지역 편중을 심화시킨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대학 총장 추천제를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앞서 민주당 강기정 의원은 지난해 12월 삼성그룹 홈페이지에 등재된 계열사 27곳의 사장단 48명 중 호남출신이 단 1명도 없다며 호남소외 인사를 지적한 바 있다.

광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