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평화의 섬 지정 9주년… 성과는 미미
입력 2014-01-27 13:18
[쿠키 사회] 제주도가 정부에 의해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된 지 27일로 9주년을 맞았다. 그러나 평화대공원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에 있는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우근민 제주지사는 27일 ‘세계평화의 섬 지정 9주년에 즈음한 평화의 메시지’를 발표했다. 우 지사는 “평화의 섬 지정 이후 달라진 환경에 부응해 새로운 트렌드에 맞게 평화사업을 발굴해 추진하겠다”며 “국가 차원의 첫 추념일로 거행되는 올해 4·3위령제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제주발전의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도는 평화의 섬 지정 이후 세계평화의 섬 범도민실천협의회 구성과 운영 조례의 제정, 평화실천사업 전담조직 신설 등 평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 제주평화연구원 개원, 제주국제평화센터 개관, (가칭)제주평화대공원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실시, 4·3평화공원 조성사업, 4·3유적지 복원사업, 제주포럼 정례화, 북한 감귤보내기 운동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주가 진정한 세계평화의 섬으로 자리매김하기에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라는 지적이 많다. 평화센터 개관 등의 성과는 대부분 평화의 섬 지정 이후 2∼3년 사이에 이뤄진 것으로 9년이 지난 현재 일부 사업들은 중단되거나 추진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노무현 정부 이후 세계 평화의 섬 조성에 대한 정부 의지가 줄어들고, 국제정세 변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과 제주도의 추진 의지부족 등 내부적 요인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민군복합형관광미항 추진으로 ‘세계 평화의 섬’ 개념자체가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은 물론 현재 추진되는 평화사업들이 지역 차원의 사업에 그쳐 도민들의 관심과 참여조차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도 한계라는 지적이다.
제주평화연구원 관계자는 “새롭게 부상하는 제주의 자연·생태·환경 이미지를 연계한 다차원적인 평화 개념을 통해 세계 평화의 섬 제주의 새로운 이미지 창출이 필요하다”며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평화사업 외에 새로운 환경변화에 맞는 평화사업 발굴도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