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진행 어떻게] ‘2월 중순 상봉’ 속도내는 정부, 1월 27일 北에 전통문 전달
입력 2014-01-27 01:36
남북은 이번 주부터 설 이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협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이 인도적 차원에서 시급성이 요구되는 사안인 만큼 다음 달 중순 상봉 행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한·미 합동군사연습 등 실제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기까지는 걸림돌이 적지 않다.
◇내달 중순 상봉 가능성=정부는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수용과 관련해 구체적인 우리 정부 입장과 상봉을 위한 실무협의 방법 등을 담은 대북 전통문을 27일 전달한다. 정부 당국자는 26일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제의에 대한 답을 미룰 상황은 아닌 만큼 내일 우리 입장을 담은 전통문을 북측에 전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할 별도의 적십자 실무접촉을 곧바로 갖자는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실무접촉 장소는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북한의 명절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2월 16일) 이후인 다음 달 17일부터 일주일가량을 유력한 상봉 가능 시기로 보고 있다. 동절기에다 고령인 이산가족들의 안전한 상봉을 위해 숙소 난방 확인 등 준비단의 실무 점검이 필요한 만큼 다음 달 중순보다 일찍 상봉이 성사되기 어렵다는 현실을 감안했다.
실제 상봉이 이뤄질 경우 지난해 9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 당시 선발된 최종 상봉 대상자들이 가족을 만나게 된다. 당시 남북은 생사 및 상봉 의사 확인 등을 거쳐 남측 96명, 북측 100명의 상봉단 명단을 확정해 교환한 바 있다. 상봉 장소도 똑같이 금강산이다. 정부는 남측 대상자를 상대로 다시 건강 상태와 상봉 의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실제 상봉까지는 산 넘어 산=북한은 전통문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에 동의하면서도 “설이 지나 남측이 편리한대로 정하라”고 시기 문제를 ‘백지수표’로 일임했다. 따라서 우리가 원하는 2월 중순 개최에 대해 거부할 명분이 크지 않다. 이렇게 될 경우 남북은 2010년 10월 이후 3년4개월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게 된다.
그러나 실제 상봉 행사가 이뤄질 때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가장 큰 변수는 북한이 극도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고 있는 한·미 합동군사연습이다. 지휘소훈련(CPX)인 키 리졸브 연습은 2월 마지막 주에 시작되고, 실제 한·미 전력이 참여하는 독수리 연습은 4월 중순에 종료된다. 북한은 상호 비방 중상 및 군사적 적대행위 금지를 요구하며 이산가족 상봉 카드를 빼들었다. 따라서 자신들이 요구한 한·미 합동군사연습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막판에 다시 이산가족 상봉 합의를 뒤집고 대남 도발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정부가 상봉 행사를 다음달 중순에 열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다른 걸림돌은 금강산 관광이다. 북한은 항상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을 연계해 왔다. 따라서 이산가족 상봉 실무회담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은 별개의 사안으로 못 박고 있다. 이럴 경우 지난해 9월의 상봉 무산 사태가 되풀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당시 북한은 우리 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며 상봉 나흘 전에 행사를 일방 연기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금강산 관광 재개 제의 등 북한의 다양한 행동 방향을 가정해 놓고 시나리오별 대응 방향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