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새누리, 자발적 ‘공천 실험’ 시작됐다
입력 2014-01-27 01:36
기초선거 정당공천을 계속 유지하기로 사실상 결정한 새누리당의 일부 지역에서 자발적인 ‘공천 실험’이 시작됐다. 국회의원들이 기초선거 공천권을 휘두르면서 발생하는 공천 헌금 같은 폐단을 최소화해 정당공천 폐지 공약 파기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다.
새누리당 충남 당진시 당원협의회는 지난 20일 운영회의를 열고 공직후보자 추천 규정을 개정했다. 당협 확대운영위원 50여명이 시장, 도의원, 시의원 후보추천 선거인단이 돼 당기여도(40%)와 당선가능성(60%)을 기준으로 공직후보자를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당선가능성은 중앙당에서 여론조사 기관을 추천받아 후보자 상호 추첨에 의해 결정된 2곳에 의뢰해 그 결과로 판단하기로 했다. 이후 확대운영위원 회의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후보자 정견 발표를 들은 뒤 투표를 진행해 당기여도를 가늠한다는 방침이다. 경선과정에서 후보자가 금품 살포 등의 부정 행위를 벌인 경우에는 당협위원장이 직권으로 후보자를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당진 당협위원장 김동완 의원은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당의 후보자는 당원의 뜻을 물어 결정해야 하지만 당원들이 담합하는 경우 민심이 왜곡되고 당내 권력자 한 사람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여론조사로 이를 보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공직후보자 공천은 사람이 아닌 시스템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면서 “당협위원장으로서 당원의 진실한 뜻을 표출할 수 있도록 N분의 1표만 행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지난 22일 의원총회에서 이 같은 방식을 발표하자 몇몇 의원들이 구체적인 내용을 묻는 등 관심을 보여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김 의원은 당 대표 자문기구인 지방자치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부산 부산진갑 당협위원장 나성린 의원은 기초단체장과 시·구의원 후보를 100%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방식을 최근 부산시당에 요청했다. 당원 50%, 지역주민 50% 비율로 조사해 합산하는 방식이다. 나 의원 측 관계자는 “공천권을 유권자에게 돌려주고 돈 공천 등 잡음을 없애기 위해서는 이 방식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 비용은 전액 나 의원이 부담하기로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