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제 살 깎기’ 보조금 경쟁 또 불붙었다
입력 2014-01-27 01:35
이동통신 시장의 고객 뺏어오기 전쟁이 점입가경이다. 제조사인 애플이 판매장려금을 지급하지 않는 ‘아이폰5s’까지 마이너스폰으로 둔갑하면서 이통사들의 보조금 경쟁이 도를 지나쳤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지난 23일 서울 일부 휴대전화 매장에서는 아이폰5s의 보조금이 90만원대를 기록했다. 출고가가 81만4000원인 아이폰5s 16GB 모델은 마이너스 11만6000원, 출고가 94만6000원인 32GB는 1만6000원에 판매됐다. 출고가 107만8000원인 64GB 모델은 14만8000원에 팔렸다.
통상 보조금은 제조사의 판매장려금에 이통사의 보조금을 더해 책정된다. 하지만 애플은 국내 제조사들과 달리 판매장려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내부 정책에 따라 판매장려금 대신 신형 모델이 나오면 구형 모델의 출고가를 일괄적으로 내리는 전략을 구사해 왔다. 애플은 국내 이통사에도 대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하지 못하도록 해 이통사들은 아이폰에 한해 10만원대의 기본 보조금과 2년 약정 시 적용되는 요금 할인 정책으로만 가입자를 유치했다. 하지만 이통사들이 막대한 보조금을 투입하면서 아이폰마저 공짜폰을 넘어선 마이너스폰 대열에 합류하게 됐다.
그간 이통사들은 보조금 과열의 책임이 제조사의 판매장려금 때문이라고 주장하면서 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의 필요성을 주장해 왔다. 자금력 있는 제조사가 대규모 판매장려금을 시장에 풀어 과열 경쟁을 유도하는 만큼 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이통업계가 아이폰을 사용하는 경쟁사 고객을 끌어오기 위해 90만원 이상의 보조금을 투입한 것이 드러나면서 이런 명분도 잃게 됐다는 지적이다.
같은 기간 이통사들의 불법 보조금 경쟁은 치열했다. 아이폰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3’ 등에도 막대한 보조금이 지급됐다. 갤럭시 노트3와 LG전자 ‘G2’에 최대 100만원, ‘갤럭시S4 LTE-A’에는 90만원의 보조금이 각각 지급됐다. 지난 23일 하루 번호이동 건수는 14만건(알뜰폰 제외)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 가입자가 각각 4015건, 2359건 순증했고 KT는 6374건 순감했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이통3사에 보조금 경쟁 자제까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26일 “한쪽이 보조금을 대규모로 풀면 경쟁사들은 가입자를 뺏기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대응에 나설 수밖에 없다”면서 “그동안 보조금 혜택이 많지 않았던 아이폰에 보조금이 크게 풀리면 번호이동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한편 저렴한 요금제의 알뜰폰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GS25는 27일부터 KT알뜰폰 ‘홈’과 공동으로 월 1만원대 요금제를 적용한 스마트폰 3종을 판매한다. 판매 기종은 ‘아이리버1’ ‘아이리버5’ ‘갤럭시에이스’ 등으로 단말기 할부금에 기본요금까지 합한 한 달 요금이 30개월 약정 기준 각각 7800원, 1만2000원, 1만3000원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