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2014년에도 경제가 문제야…”

입력 2014-01-27 01:35


오는 28일(현지시간) 예정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신년 국정연설 화두는 역시 ‘경제’가 될 전망이다.

댄 파이퍼 백악관 선임 고문은 25일 지지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에는 구직자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찾아주고, 국민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경제 안전망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것이 바로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연설이 끝나면 곧바로 전국을 돌며 ‘일자리 세일즈’에 나서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금주부터 국정연설에서 제시할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메릴랜드주 프린스조지 카운티를 비롯해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위스콘신주 밀워키, 테네시주 내슈빌 등을 순회할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신년 국정연설에서 경제를 강조하지 않은 적이 없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 빠진 미국인들에게 ‘경기 회복’이란 메시지만큼 달가울 게 없기 때문이다. 매년 경제를 화두로 내세웠지만 특히 올해의 경우 단순히 말잔치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게 미 언론들의 전망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대외적으로는 시리아 군사개입 직전까지 치달아 국제사회로부터 비난 받고, 국내에선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오바마케어(건강보험개혁제도) 오류 등으로 악재가 이어지며 국정 지지율이 50% 아래로 떨어지는 등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다. 올 연말 예정된 중간선거에서 최소한 상원에서라도 민주당 다수석을 지켜내려면 경제 살리기 구호가 ‘구두선’에 그쳐선 안 되는 것이다. 하원에 이어 상원까지 공화당에 내줄 경우 내년부터 남은 2년의 임기는 조기 레임덕으로 빠져들 게 뻔하기 때문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전국에 생중계되는 국정연설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깜짝’ 계획과 장기 실업자 지원, 빈부 격차 및 소득 불균형 해소 방안을 적극 피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액션 플랜이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예컨대 지난해 말 지원이 끊긴 130만명의 장기 실업자에 대한 실업수당 연장지급 법안 처리 등을 촉구한 뒤 의회가 응하지 않으면 행정명령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저임금 인상, 아동 조기교육 확대, 포괄적 이민 개혁 등도 의회를 압박할 카드로 국정연설에 등장할 수 있다.

이밖에 외교 이슈로는 시리아 국제 평화회담, 이란 핵 합의 이행,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협정 체결 등이 짧게만 언급될 것이라고 오바마 행정부 관료들은 내다봤다. 올해 말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군한다는 방침을 다시 밝히겠지만 병력을 남겨놓을지 등에 대한 결정은 내놓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이은 공화당의 대응연설에는 여성인 캐시 맥모리스 로저스(워싱턴) 하원의원이 나서기로 했다. 최근 선거에서 여성 유권자들의 표를 대거 민주당에 뺏긴 것을 인식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고 WP는 전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