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檢의 몸부림
입력 2014-01-27 01:35
대검찰청이 검찰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겠다며 수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외부 용역을 진행 중이다. 언론 등 매체에 등장하는 검찰 이미지가 실제보다 과장됐고, 외부의 부정적 시각으로 검찰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자체 분석도 내놨다.
대검은 지난해 12월 30일 PR컨설팅업체 에델만코리아와 ‘검찰 브랜드 가치 상승을 위한 검찰 홍보, 공보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정부예산 4800만원이 투입된 정책연구사업으로 3개월간 진행되며 주로 미국, 일본, 독일 검찰청의 대국민 홍보 및 공보 현황과 시스템 조사가 이뤄진다.
검찰은 에델만 측에 미국·일본·독일 검찰청의 언론 브리핑 운영 현황과 언론 취재자료 요청 시 제공 절차 및 기준, 언론 모니터링 및 대응 방안, 공보 관련 지침 및 매뉴얼 등을 알아봐 달라고 요청했다. 정책연구사업은 중앙행정기관이 정책 개발이나 주요 정책 현안에 대한 조사·연구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용역사업이다.
검찰은 사업 제안서에 ‘검찰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과 ‘국민소통 강화’를 추진 목적으로 지목했다. 검찰 업무 특성상 ‘범죄수사→형벌→교도소’로 이어지는 부정적 연상 작용 때문에 권위적이고 위압적인 이미지가 형성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검찰은 언론이나 영화 등 대중매체에도 검찰 이미지가 실제보다 과장되게 권위적이고 권력 지향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엄격한 수사와 법집행을 하더라도 폐쇄적인 업무 프로세스와 국민의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는 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을 수 없다”는 게 검찰의 분석이다.
이는 최근 연이어 터진 현직 검사 성추문과 뇌물수수 사건, 검란 등으로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해지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후속 조치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해에도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접대 의혹,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의혹,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의혹 사건을 둘러싼 내부 갈등과 항명 논란 등이 보도되면서 명예를 실추했고 현직 검사가 비위로 구속돼 재판에 넘겨지는 일도 끊이지 않았다.
법조계 관계자는 “일부 검사들의 비위가 연일 보도되면서 검찰 전체가 비위 집단으로 평가돼 묵묵히 일하는 젊은 검사들의 사기가 떨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며 “그러나 검찰권을 바로 행사해 제대로 된 수사로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는 게 정도(正道)”라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 7월부터 관련 용역사업 추진을 준비하고 있었다”며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제대로 된 홍보·공보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