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도권도 비상] 선제적 방역 통해 확산 막기 안감힘
입력 2014-01-27 03:31
민족 대이동 기간인 설 명절을 앞둔 방역 당국이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다. 지난 주말을 고비로 확산세가 수그러들 것이라던 당초의 예상과는 달리 수도권과 전남에서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사례가 나타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7일부로 경기도, 충남, 충북 일대에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한 것은 수도권 사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지난 25일 충남 부여 종계 농가와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에서 수거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감염 지역이 확대돼 위기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다만 이동 제한 시간을 오전 6시부터 12시간으로 짧게 설정한 것은 설 명절을 앞두고 출하가 막힐 경우 대다수 축산 농가가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수도권과 인접 충청 지역에 AI 감염 우려가 높아지면서 개별 축산 농가의 경각심을 높이고 선제적인 방역을 통해 추가 확산을 차단하겠다는 의지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야생철새의 방역 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방역당국은 야생철새에서 고병원성 AI 검출 시 시료채취 지점으로부터 반경 10㎞ 내 가금류 농장에 대하여 이동제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또 반경 30㎞ 이내 가금류 농장에 대한 임상예찰 및 인근 도로와 가금농가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철새로 인한 AI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경고하며 개별 축산 농가에 방역을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가축방역협의회는 지난 25일 농가 단위의 소독 및 출입통제 등 차단 방역이 지속적으로 실천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첫 번째 고병원성 AI 발병 사례가 나타난 이후 열흘이 지났지만 계속적으로 추가 감염 사례가 나타나는 등 축산 농가의 방역 체계가 작동하지 않고 있는 점은 당국의 고민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귀성 기간이 시작되기 직전인 27일 전국적인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동했다. 그러나 수평 이동 차단에 초점을 맞춘 기존 방역체계로는 개별적·산발적인 AI 발생을 막기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정부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