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설 지나 이산가족 상봉하자”…남북 관계 개선 극적 모멘텀 마련

입력 2014-01-25 02:30

북한이 24일 설 이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자고 전격 제의했다. 우리 정부는 즉각 환영 입장을 밝혔다. 얼어붙은 남북관계가 극적으로 개선될 모멘텀(동력)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는 남측 적십자사에 통지문을 보내 “내외의 일치한 지향과 염원에 맞게 북남관계 개선의 길을 실천적으로 열어나갈 일념으로부터 우선 올해 설 명절을 계기로 북남 사이의 흩어진 가족, 친척 상봉행사를 진행하자”는 제의를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정부도 북한이 오후 6시30분쯤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대한적십자사 총재 앞으로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는 전화통지문을 보냈다고 전했다.

북한은 “상봉행사는 이미 북남 적십자단체들이 합의했던 대로 금강산에서 진행하되 날짜는 준비기간을 고려해 설이 지나 날씨가 좀 풀린 다음 남측이 편리한 대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기타 제기되는 문제들은 판문점 적십자 연락통로를 통하여 협의 해결하면 될 것”이라며 “남측의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북측이 뒤늦게나마 우리의 제안을 수용한 것을 환영한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산가족 상봉 시기와 협의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들은 추후 통보하기로 했다. 따라서 이산가족 상봉은 이르면 다음 달 중순쯤 금강산에서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무산된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 최종명단을 활용할 예정이다.

북한은 또 통지문을 통해 북한 국방위원회의 지난 16일 중대제안과 이날 발표한 공개서한에 대해 “더 이상 수수방관할 수 없는 국토양단과 민족분열의 비극적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조국통일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는 최고수뇌부의 애국애족 결단과 숭고한 책임감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북한 국방위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특명에 따라 남한에 보낸 공개서한을 통해 “(지난 16일 발표한) 중대제안은 결코 남조선 당국이 떠드는 것과 같은 위장평화 공세도, 동족을 대상으로 벌리는 선전심리전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이미 일방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자극이나 비방 중상을 전면중지하는 길에 들어섰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정부입장을 통해 “북한의 진정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것은 과거 평화공세 이후 북한이 도발한 수많은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우선 정치·군사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인도적인 문제의 해결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