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시켜라
입력 2014-01-25 02:31
북한이 24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전격적으로 제의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북한 적십자회중앙위원회는 이날 남측 적십자사에 보낸 통지문에서 “우선 올해 설 명절을 계기로 북·남 사이의 흩어진 가족, 친척 상봉행사를 진행하자”고 제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통지문은 “상봉행사는 이미 북남 적십자단체들이 합의했던 대로 금강산에서 진행하되 날짜는 준비기간을 고려하여 설이 지나 날씨가 좀 풀린 다음 남측이 편리한 대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기타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하여 판문점 적십자 연락통로를 통하여 협의 해결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 제의에 대해 “북측이 뒤늦게나마 우리의 제안을 수용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이산가족 상봉 시기와 협의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들은 추후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관련한 창구를 통일부로 일원화한다는 입장이어서 공식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환영하는 기류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제안했고, 북한이 화답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제안을 거부했던 북한이 갑작스럽게 입장을 바꾼 이유는 향후 남북관계의 원만한 진척을 위해서도 곰곰이 따져볼 필요가 있다. 북한은 박 대통령의 신년 제안에 대해 “좋은 계절에 다시 마주 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또 북한은 지난 16일 상호 비방행위 중지, 군사적 적대행위 전면중지, 핵재난 방지를 위한 상호조치 등 ‘중대제안 카드’를 들고 나왔다. 마치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세력이 북한이 아니라 남한이라는 선전술을 꺼내든 것이다. 북한이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의 무산 책임을 남한 측에 전가한 것도 이런 선전술의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해 정치·군사적으로 셈법을 따지지 말고 오로지 인륜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남북관계가 아무리 경색되더라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남북을 오가는 방식으로, 정기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이것이 한민족이 진정으로 화합을 향해 가는 첩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