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카드 사태로… 메리트 사라진 금융지주사

입력 2014-01-24 01:34 수정 2014-01-24 10:24


신용카드회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금융권 전체가 받는 타격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선 고객정보보호 강화에 따라 관련 비용이 늘어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 또 금융지주회사 내 계열사 간 정보 공유가 제한돼 금융지주 체제의 중요한 메리트도 사라지게 됐다.

금융계열사 간 무분별한 정보 공유가 화를 불렀다고 판단한 정부는 계열사 간 정보 공유를 신용위험관리 등 내부 경영관리 목적으로만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사전 동의 없이 고객정보를 외부 영업에 활용하려면 이사회 승인을 받고 고객에 통지하도록 절차를 강화했다. 지금까지 금융지주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개인 신용정보를 계열사들끼리 공유할 수 있었다.

키움증권 서영수 애널리스트는 23일 “계열사 간 정보 수집·공유 제한은 금융지주의 가장 중요한 장점인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에 적지 않은 제약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장도 지난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보 공유 제한은 금융업 영업 환경에 큰 제약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계사들끼리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영업에 활용해오던 것이 한층 어려워질 것이라는 뜻이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선 “이번 정보 유출 사태는 무분별한 정보 공유보다는 내부 통제 부실이 핵심 문제였던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서 애널리스트는 이번 사태에 관한 정부 대책이 캐피털, 저축은행, 보험사 등 제2금융권에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규제 강화로 마케팅 목적의 정보 수집이 어려워진 데다 불법 정보 이용에 대한 감시와 처벌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카드업계의 경우엔 카드사의 핵심가치 중 하나인 정보와 관련한 무형의 기업가치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