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약파기’ 부담됐나… 기초선거 공천 결론 못내
입력 2014-01-23 02:33
새누리당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기초선거 공천제 폐지 여부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 공천제 유지에 공감대는 이뤘지만 의총 참석률이 저조해 당론으로 채택하지는 못했다. 야당과 협상해야 되는 사안이라는 이유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 위임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먼저 당 지도부는 의총 시작과 함께 공개발언을 통해 공천제를 유지해야 하는 명분을 내세우면서 분위기를 잡았다. 황우여 대표는 “신뢰할 수 있는 후보자들을 국민 앞에 마련하는 것이 정당의 기본적인 임무”라며 “선거 때 공천을 안 하면 그 정당은 뭘 하려는 것인가라고 오히려 국민들은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공천제를 폐지할 경우 위헌 소지, 후보 난립, 돈 선거 부활,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및 정치 신인에게 불리하다는 등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의총이 비공개로 전환된 직후에는 비주류 의원을 중심으로 기초선거 공천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친이명박계 좌장 이재오 의원은 “공천 폐지는 여야가 함께 약속한 공약이고 국민 불신에 대한 일차적 책임은 여당에 있는 만큼 폐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용태 의원은 천안함 정국을 언급하면서 “민심을 잘못 읽어서 얼마나 고생했나. 그래서 그해 지방선거에서 패하지 않았나. 이게 뭐라고 안 해서 국민을 기만한다는 소리를 듣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뒤이어 대다수 발언자들은 공천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유발언에 나선 18명의 의원 중 14명이 공천제 유지론을 폈다. 다만 공약을 지키지 못하게 된 점에 대해선 대국민 사과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개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학용 의원은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얘기하면 이해해 주리라 본다. 당 차원에서 사과도 필요하다 본다”고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이날 의총에 당 소속 의원 155명 가운데 60여명만 참석해 당론으로 정하지 못한 모양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내부적으로 공천제 유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공약 파기에 대한 부담감이 저조한 의총 참석률로 나타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은 의총을 통해 사실상 정당 공천을 유지하겠다는 속내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며 “여당의 당론 결정 회피는 결국 민주당과 함께 비난을 받겠다는 물귀신작전이고, 자기 책임을 떠넘기는 후안무치, 비겁한 술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24일 국회에서 당 지도부와 당 소속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등이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공천 폐지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지기로 했다.
유성열 임성수 김동우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