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5월 원내대표 경선 필두… 與 당내 권력투쟁 막오른다
입력 2014-01-22 02:33
새누리당이 오는 5월 원내대표 경선을 필두로 6·4 지방선거와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8월 치러질 것으로 보이는 전당대회로 이어지는 숨 가쁜 정치일정을 소화하게 된다. 벌써부터 각 계파 간 치열한 물밑 주도권 다툼이 시작된 모습이다.
당 지도부는 ‘박근혜정부 완성론’을 지방선거의 기치로 내걸고 선거준비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계파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원내대표 경선, 차기 당 대표 선출 등은 일단 후순위로 밀리고 있다. 하지만 정치일정에 따른 당내 권력분화 시나리오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당내 실력자인 서청원·김무성 의원이 차기 당권 도전을 위한 전대 출마 의사를 강하게 피력하고 있어 올해 하반기에는 건곤일척(乾坤一擲)의 승부가 예상된다. 때문에 유력주자를 각각 지원하고 있는 주류 친박(친박근혜)계와 비주류인 비박(비박근혜)계의 당내 주도권을 향한 수(手)싸움도 치열하다.
◇원내대표 경선이 분수령=4월 임시국회를 끝으로 새누리당 지도부의 ‘투톱’인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의 임기도 종료된다. 때문에 지도부는 현 체제를 차기 체제로 이양하는 시기와 방법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체제 개편의 첫 번째 분수령은 원내대표 경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점은 최 원내대표의 임기 만료 직전인 5월 초가 거론된다. 그러나 올해에는 임기 2년차인 황 대표도 동시에 퇴임하는 데다 시점 역시 6월 지방선거와 7월 재보선 바로 직전인 점이 문제다. 차기 원내대표는 조기 전대가 여의치 않을 경우 5∼8월 동안 대표를 대행하는 비대위원장으로서 7월 재보선 공천, 전대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때문에 원내대표직을 차지하기 위한 계파 간 경쟁구도가 과열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내에서는 친박계의 유기준 최고위원, 범친박계의 이완구·이주영 의원, 비박계의 남경필 의원 등이 주요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지방선거 ‘간판 후보’ 없는 친박=지방선거는 권력분화의 기점이 될 수 있다. 새누리당이 승리하면 주류 지도부의 재신임으로, 패배하게 되면 비주류의 지도부 교체론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지방선거의 공천권을 행사하고 있으면서도 전체 선거판의 흥행을 주도하고 최종적으로 승리로 이끌 간판 후보가 없다는 점이 친박계의 고민이다. 현재 지방선거 출마가 유력하게 거론되는 친박계 후보로는 서병수(부산시장)·이학재(인천시장)·정갑윤(울산시장) 의원과 유정복 안행부 장관(경기도지사) 등이지만 이들의 본선 경쟁력은 비박계 후보와 민주당 주자들에 비해 열세에 처해 있다.
친박계 내부에서는 이런 기류가 이어지면 자칫 7월 재보선부터 당내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흐른다. 7월, 10월 재보선의 경우 서울·경기 등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미니 총선’ 급으로 치러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차출이 거론되는 인사는 원희룡·임태희 전 의원 등 비박계 인사들인 점도 위기감을 더한다. 재보선의 공천권부터 비박계의 도전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서청원 대 김무성’의 빅 매치=원내대표, 공천권 등을 놓고 불거진 당내 권력투쟁은 8월쯤 열릴 것으로 보이는 전대에서 하이라이트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 대표주자로 거론되는 서 의원은 ‘당권·국회의장·백의종군’의 세 가지 진로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여야 의원들을 두루 만나는 광폭 행보를 볼 때 당권 도전으로 기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측근 의원과의 대화에서 “8월 전대가 적절하다”며 구정 이후 거취 표명을 하기로 시한을 정했다고 한다.
김 의원은 ‘정당민주주의 실현’을 내걸고 이미 당권 도전 의사를 공식화한 상태다. 최근 측근에게 “전대 시점과 무관하게 출마하며, 강하고 개혁적인 새누리당을 만들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고 한다. 김 의원은 정당민주주의에 대해 “공천권을 권력자로부터 빼앗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를 당권 도전 공약으로 내걸 뜻을 분명히 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