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민주당과 정면대결 불사… 마침내 승부수 던졌다
입력 2014-01-22 03:41 수정 2014-01-22 11:48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3월 창당’을 선언한 것은 6·4 지방선거, 7·30 재·보궐 선거에서 ‘실질적 제1야당’의 입지를 놓고 민주당과의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뜻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1998년 이후 16년 만에 처음으로 전국 단위에서 새누리당, 민주당, 안철수 신당 간 3자 대결구도로 치러질 전망이다. 정계입문 1년4개월여 만에 안 의원이 사실상 정치생명을 건 승부수를 던졌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통합의 길 가겠다”=안 의원은 21일 제주시 벤처마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정치에서 낡은 틀로는 더 이상 아무것도 담아낼 수 없어 새정치 세력이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옳았음을 거듭 확인했다”며 창당 결심 배경을 밝혔다. 이어 “탄탄대로가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새로운 정당은 극단주의나 독단론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정치공간으로 기득권 정치세력이 외면한 통합의 길을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오늘의 창당선언은 훗날 대한민국 역사의 획기적인 이정표로 기록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안 의원은 2월 창당준비위원회 발족, 3월 창당 이후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해 17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를 전부 내겠다는 계획이다. 새정치추진위원회 윤여준 의장은 “사견으로는 시·도지사 선거에서 두 군데만 당선돼도 충분한 성과”라고 했다. 야권 연대나 후보 단일화 관련해선 “분명히 말하지만 생각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3자 구도에 따른 야권 필패론의 부담이 커 실제 완주 여부는 미지수다.
향후 당 강령·정강 등은 국민 토론회를 통해 확정하고, 당명과 당색도 국민 공모로 정해진다. 새정추는 23일 전남 목포에서 지방선거 전략을 담은 지방정부 플랜을 발표하고, 설 이후 새정치 비전을 내놓을 방침이다.
◇조기 창당 결정 배경은=안 의원이 3월 창당을 택한 이유는 야권 주도권 쟁탈전에서 우위를 점하고 선거를 제대로 치르기 위한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대선 때부터 줄곧 무소속인 점 때문에 불안정하다는 비판과 공격을 받아왔고, 세(勢) 규합에도 어려움을 겪어왔다.
윤 의장 영입으로 창당 시기가 빨라진 측면도 있다. 윤 의장은 이미 창당을 공식화한 만큼 늦어도 3월까지는 창당을 완료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 왔다. 이와 맞물려 7월 재보선을 치르기 위해서라도 당이 필요하다는 진영 내 의견이 강해졌다.
무엇보다 인물난이 심각했던 것도 결정을 앞당겼다는 분석이다. 안 의원의 직접적인 영입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창당을 하면 움직이겠다”며 유보적 태도를 보인 인사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안 의원은 3월 창당을 둘러싼 다양한 해석에 대해 “(신당은) 선거를 위한 정당이 아니다. 이미 국민 80%는 창당한 것으로 안다”면서 “유불리를 떠나 이제 창당 준비가 됐기 때문에 일정을 연기하는 건 맞지 않는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예고도 없이 갑작스레 창당을 발표한 배경을 놓고는 뒷말이 나왔다. 실제 전날 새정추 회의에서는 창당 로드맵 관련 논의가 미결에 그쳤다가 밤늦게 결정을 내렸다. 때문에 이날 제주에 동행한 취재진은 10여명에 불과했다. 전날 안 의원이 민주당을 향해 “(6월 지방선거에서) 이번엔 우리가 양보 받을 차례”라고 발언한 것을 놓고 비판이 일자 이를 진화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김아진 기자, 제주=정건희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