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차관 회담] “北 도발 대비 한반도 정세 협의 강화”

입력 2014-01-22 02:33

한·미 양국은 장성택 처형 이후 불안정해진 북한 상황을 감안해 북한 도발이 예상되는 오는 2∼4월을 주시하면서 북한 정세에 대한 상호 협의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또 북핵 문제는 여전히 한·미 양국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의제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비핵화 대화 진전을 위해 중국 등과도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

김규현 외교부 1차관과 방한 중인 윌리엄 번스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21일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번스 부장관은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한·미 양국은 북한 지도부의 최근 행동과 위험, 북한이 미래에 취할 수 있는 무모한 행동과 추가 도발에 관한 많은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굳게 지지하고 한국의 방어와 안보를 강력히 지원하겠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담은 양국 외교장관이 이달 초 워싱턴에서 북한에 대한 정세 평가 협의를 강화하기로 합의한 이후 이뤄진 첫 고위급 협의다. 한·미 간 한층 긴밀한 대북 정세 협의 체제가 본격 가동됐다는 의미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시간 50분 중 절반 이상이 북한 문제 협의에 할애됐다”며 “특히 2∼4월 (한반도) 긴장 상황이 예상되는 기간에는 긴밀한 의견 교환이 더욱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핵 문제는 장성택 처형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여전히 한·미 양국 협의의 최우선 순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도 앞서 해외순방 도중 “북한이 (비방 중상 및 군사적 적대행위 중지 제안 등) 선전 공세를 할 때일수록 대남 도발 등에 더욱 철저히 대비하는 철통같은 안보태세를 기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김 차관은 한·일 관계에 대해선 일본 정치지도자들이 올바른 역사관을 가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번스 부장관은 이에 대해 “한국과 일본은 모두 미국에 중요한 만큼 한·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번스 부장관은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예방한 뒤 중국으로 떠났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