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정보유출 대란] 카드사들 “구상권 청구 검토 중”… 유출 진원지 KCB 사면초가

입력 2014-01-22 02:33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의 진원지인 신용정보업체 코리아크레디트뷰로(KCB)가 코너에 몰리고 있다. 카드사들이 직원이 정보를 빼돌린 KCB에 대해 구상권 청구 가능성을 밝히고 나선 데다 1년간 무료로 제공키로 한 신용정보보호서비스도 실효성 논란에 휩싸여 있다.

2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정보 유출 사태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일부 카드사가 카드 재발급 비용과 우편발송 비용 등과 관련해 KCB에 구상권 청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물리적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 구상권 청구가 가능한지 법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현재 몰려들고 있는 카드 재발급 신청을 모두 소화하고 나면 약 1000억원 정도의 재발급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KCB는 지난 16일 전 국민에게 ‘금융명의보호서비스’를 1년간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고객 신용정보에 변동사항이 생기면 문자메시지나 이메일로 알려 개인이 직접 신용조회를 차단·해제해 명의도용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서비스로, 1년에 1만8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홈페이지에 들어와 서비스에 가입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하지만 다음 달 12일에나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당장 정보유출로 불안감을 호소하는 고객들에겐 도움이 되지 않는 셈이다.

KCB는 “전 국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증설하는 작업이 필요해 당장 제공이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KCB가 책임을 지는 척만 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사태는 카드사들이 카드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을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작업을 담당한 KCB 직원이 정보를 빼돌리면서 일어났다. FDS는 평소 마트에서 카드를 사용하던 주부가 밤늦게 술집에서 거액을 결제하는 경우와 같이 평소와 다른 카드 사용행태를 보일 경우 바로 고객에게 연락해 실제 사용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부정사용에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이런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IT부문 외주화가 많이 이뤄져 내부직원 통제가 어렵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