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이 꼽은 아시아 경제 최대 난제는… “물가상승률 둔화·금리상승”

입력 2014-01-20 01:3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의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 회복을 이끌던 아시아 국가들이 올해는 큰 장애물에 직면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금융연구원은 19일 보고서를 통해 물가상승률 둔화, 금리상승, 일본의 경제정책 효과 감소, 정정불안 등을 아시아 경제 4대 난제로 꼽았다.

연구원은 우선 “최근 주요국 중앙은행은 물가상승률 2% 달성을 선제지침으로 제시했다”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실물부문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기 회복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주요국의 물가상승률은 목표치를 밑돌고 있다. 2012년 11월 대비 2013년 11월 물가상승률은 미국이 1.2%, 일본이 1.5%, 유로지역이 0.9%다. 한국은 지난해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1.3%였다.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을 맴도는 가운데 선진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국가들은 수출·투자 감소와 민간소비 하락으로 실물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또 “최근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올라 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자본유출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빨리 회복될 경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양적완화 축소의 고삐를 당길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달러 강세와 미 국채 수익률 상승은 아시아 기업의 조달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따른 엔저 효과로 주변국 수출여건이 악화된 데다 당초 기대와는 달리 일본의 정책효과가 여타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 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정책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도 불안요인으로 지적됐다. 여기에다 태국·인도네시아 등이 정정불안에 시달린다는 점도 아시아 지역 경기 회복의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원은 “각국이 국제 금융경제 여건을 고려하고 자국의 경제성장 동력을 키우기 위해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정책대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