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탄도미사일 움직임 감시… 日, 조기 감지 적외선 센서 개발 추진

입력 2014-01-18 01:32

일본 정부가 탄도미사일 조기 감지에 활용되는 적외선 센서 개발에 착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7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14 회계연도 정부 예산안에 적외선 센서 개발 비용으로 5000만엔을 반영했다. 적외선 센서는 3만6000㎞ 상공의 정지 궤도에서 탄도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는 조기경계위성에 활용되는 기술로,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방위성과 함께 개발을 담당한다.

이는 적외선 센서를 개발하면 북한이나 중국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조기경계위성의 경우 개발이 어렵고 가격도 대당 3000억∼5000억엔에 달해 일본 정부는 이를 도입할지에 아직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요미우리는 미사일 발사 지점·시각·방향 등 조기경계정보를 미국에 의존하는 시스템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방위 정책에 영향력이 큰 자민당 국회의원은 “장래에도 미국에서 정보를 계속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약 250㎞ 상공을 비행하는 초저고도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 위성 제작에도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위성은 일반 위성(고도 약 700㎞)보다 낮은 고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사진 해상도를 2배 정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일본 정부가 자위대의 장비 조달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 5년이 넘는 장기 계약을 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항공기나 함선을 도입할 때 지급 기한이 5년으로 한정돼 있지만, 기간을 10년 정도로 늘려 한꺼번에 대량 계약하면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취지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