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인 4명중 3명, 심각한 종교 제약 시달려
입력 2014-01-16 17:45
전 세계 인구 4명 중 3명이 종교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사회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종교자유의 날’을 이틀 앞둔 지난 14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198개국의 인구 중 76%에 해당하는 53억여명이 종교활동에 대해 매우 높거나 높은 수준의 제약을 받았다. 조사대상 198개국은 세계 인구의 99% 이상을 차지한다.
이 중 종교활동을 제약하고 있는 국가는 전체의 43%였다. 인구 상위 30개국 중에서는 이집트 인도네시아 러시아 파키스탄 등이 최악의 국가로 꼽혔다. 브라질 필리핀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퓨리서치센터는 자료 부족으로 조사에서 빠진 북한도 종교활동에 대한 제약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퓨리서치센터는 종교활동 제약의 유형을 ‘신앙생활을 간섭하는 정부의 규제’와 ‘종교로 인한 학대·폭력 등 사회적 적대감’으로 나눠 분석했다. 2012년에는 조사대상 인구의 64%가 정부규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전년보다 1%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사회적 적대감을 경험한 비율은 74%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상승했다. 조사대상 국가 중 33%가 사회적 적대감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이는 전년대비 4%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퓨리서치센터는 “사회적 적대감 경험 비율이 조사를 시작한 2007년 20% 이후 가장 높았다”며 “인구가 많은 중국에서 종교 관련 테러와 종파 간 폭력사태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수 종교에 대한 억압은 조사 국가의 47%에서 벌어졌다. 특히 불교국 스리랑카의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대한 탄압, 이슬람이 국교인 이집트에서의 콥트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심각했다고 퓨리서치센터는 전했다. 종교별로는 기독교를 억압하는 나라가 110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슬람과 유대교를 탄압하는 나라가 각각 109개국과 71개국으로 조사됐다.
미국 언론박물관의 종교자유교육 담당 찰스 헤인즈 이사는 “정부의 종교자유 보장과 종교 관련 폭력 발생률 간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며 “국가가 종교 자유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면 종교갈등은 더욱 깊어지고 그로 인해 세계가 분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