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 비정상의 정상화… ‘횡령·조직 사유화’ 10개 체육단체 19명 수사 의뢰

입력 2014-01-16 01:37

경기단체 회장의 아들이 대표선수들의 개인 통장을 관리하면서 훈련수당을 횡령하고, 경기단체 임원의 절반 이상이 특정 대학 출신으로 채워지는 사례 등 체육단체들의 사유화와 도덕불감증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5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체육단체 특별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체육단체들의 조직 사유화, 단체 운영 부적정, 심판 운영 불공정, 횡령 등 회계관리 부적정 등 총 2099개 체육단체에서 337건의 비위 사실이 적발됐다. 문체부는 15억5100만원을 환수하고, 10개 단체 임직원 19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수사 의뢰된 단체는 대한야구협회 대한배드민턴협회 대한배구협회 대한공수도연맹 대한씨름협회 대한복싱협회 대한레슬링협회 경기도태권도협회 울산시태권도협회 패러글라이딩연합회 등이다.

대한공수도연맹은 회장의 아들이 상임부회장을 맡아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표선수들의 개인 통장을 관리하면서 훈련수당 1억4542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됐다.

대한유도회는 임원 28명과 전문위원 19명의 과반수 이상(57.4%)을 특정 대학 출신으로 구성해 개선요구 조치를 받았다. 대한배구협회는 부회장 2명이 자체 회관 매입 과정에서 불명확한 금전 거래를 했고, 건물 가격을 부풀리는 등 횡령 의혹을 받아 수사 의뢰됐다. 경기도태권도협회는 회장이 본인의 사적 소송비용 550만원을 협회 예산으로 집행했고, 대한씨름협회는 사무국장 등이 대회 사업비 6300만원을 횡령한 의혹으로 수사를 받게 됐다.

대한야구협회 직원들이 2012년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 사업비를 중복으로 정산해 7억여원을 횡령한 사실도 드러났다. 특히 회계관리 부문에서는 임원들이 차량 유류비와 업무추진비를 법인카드로 사용한 것과 클린카드 제도 시행 미준수 등의 사례들이 공통으로 지적됐다.

김종 문체부 제2차관은 “이번 특별감사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첫 번째 체육개혁 작업”이라며 “앞으로 프로 종목에 대한 비리 감시 체계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현 기자 tae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