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터진 검사 스캔들] 프로포폴 무마→또다른 청탁·거래?… ‘검사 비리’ 더 커지나
입력 2014-01-16 02:33
대검찰청이 15일 춘천지검 전모(37) 검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전 검사가 여성 연예인 이모(32)씨의 ‘민원 해결사’ 노릇을 하고, 수사 대상자와 사건 알선 명목으로 거래하는 등의 명백한 불법 행위가 포착됐기 때문이다. 전 검사가 서울 강남의 C성형외과 원장 최모(43)씨의 청탁을 받고 타 검찰청의 사건에 개입했는지도 수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조사 경과에 따라 이번 사건의 불똥이 다른 검사들로까지 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 검사 사건 부당 개입 포착한 듯=전 검사는 오전 10시30분쯤 대검에 자진 출석했다가 바로 체포돼 그 상태로 조사 받았다. 대검 감찰본부는 이미 전 검사에 대한 한 차례 조사와 핵심 참고인인 최씨의 진술을 확보하는 등 혐의에 대해 상당 부분 조사를 진행한 상태였다.
전 검사는 2012년 말 이씨가 포함된 프로포폴 불법 투약 수사 자료를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첩했다. 당시 명단에는 C성형외과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전 검사가 장시간 이씨를 조사했고, 이씨가 석방된 이후 종종 연락했던 점 등을 고려하면 C성형외과 관련 내용을 사전에 파악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 검사가 최씨에게 “병원을 압수수색할 수 있다”고 말한 부분도 어느 정도 최씨 관련 의혹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초 춘천지검에서 해당 사건을 넘겨받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서울 강남 일대 병원에 대해 대대적인 내사에 착수했다. 전직 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C성형외과에도 여러 차례 점검이 나왔으며, 병원 측은 그때마다 프로포폴 불법 투여 흔적을 감추기 위해 일부 진료기록을 바꾸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최씨는 기소되지 않았다.
최씨는 이씨의 수술비 등을 2∼3개월에 걸쳐 50만원에서 수백만원씩 전 검사 계좌로 송금하면서 사건 관련 정보 등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검사에게 ‘이씨가 다녀갔습니다. 제 사건번호는 2013형제○○○○호 담당검사 △△△입니다’ 등의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식이다. 전 검사는 ‘알겠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검사는 “사건에 관여한 바 없다”는 입장이지만 감찰본부는 전 검사가 일부 청탁을 들어준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전 검사가 수술비 변상 과정 등에서 최씨에게 모종의 ‘약점’을 잡혀 이용당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조사 대상 확대 가능성=감찰본부 관계자는 ‘수사 대상이 확대될 수 있느냐’는 기자 질문에 “일단 전 검사만 조사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감찰본부는 전 검사와 최씨 사이에 사건 무마나 선처 부탁, 편의 제공 등이 있었는지, 전 검사가 동료 검사들의 수사 상황을 알아보거나 연락을 취한 게 있는지 등도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감찰 내지 수사 대상에 최씨 관련 수사를 맡았던 다른 수사기관 관계자들도 포함될 수 있다는 의미다.
최씨 주변인들의 말에 따르면 최씨는 서울중앙지검의 프로포폴 수사 외에도 사기, 성폭행 등 혐의로 여러 건 고소당해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이씨의 수술비 문제 등을 해결한 뒤에도 전 검사에게 자주 연락해 수사 정보를 받거나 도움을 청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지호일 문동성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