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주택 희망지역 우선 추진… 14개 광역단체 3만7000여가구
입력 2014-01-15 01:32
행복주택 사업이 부산 서구·동래역 철도부지, 경기도 포천시 등으로 확대된다. 서울 목동을 포함해 기존 시범지구에서 주민 반발이 계속되는 등 사업 진척에 어려움을 겪자 수요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우선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행복주택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1차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충북 등 14개 광역자치단체에서 3만7000여가구의 수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4일 밝혔다.
부산이 6개구에서 7656가구를 접수한 것을 비롯해 대전(5570가구), 강원(5047가구), 경기(4217가구), 서울(2500가구), 광주(2495가구), 충남(2100가구), 인천(1525가구), 경북(1289가구) 등이었다. 국토부는 이 중 부산 서구의 제안 사업, 부산 동래역 철도부지 사업, 경기도 포천 군내면 미니복합타운 사업 등 3개 사업 1900가구를 우선 추진키로 했다. 일부 지역은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부산 서구에서는 아미4 주거환경개선 사업을 도심 주거지 재생과 연계해 행복주택 1200가구를 공급한다. 부산 지하철 1호선 토성동역이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좋고, 동아대 등 5개 대학 6만여명의 대학생 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부산 동래역 철도부지는 400가구 수준으로 공급된다. 동해남부선 동래역과 지하철 4호선 낙민역이 인접해 있고 경상대 등 대학도 근거리에 있다. 포천시 제안 사업은 군내면에 위치한 미니복합타운 내에 행복주택 300가구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산업단지 근로자 9000명과 대진대 등 대학생 수요를 기반으로 한다.
김현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