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권 2년차엔 정책 관련株 잘 나갔다는데… 現 정부서 힘 싣는 ‘내수株’도 뜰까
입력 2014-01-15 02:32
엔저(円低) 광풍이 몰아치는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은 무조건 몸을 사리기만 해야 할까? 증시 전문가들은 박근혜정부의 내수활성화 정책을 주목해 새로운 수혜주를 찾아낼 수 있다는 시각이다. 그간 각 정권의 집권 2년차에는 주력 경제정책과 관련된 종목들이 증시를 이끄는 경향이 뚜렷했다. 다만 투자자들에게는 입소문에 의존한 테마주인지, 실적도 동반된 수혜주인지 가려낼 안목이 필요하다.
◇집권 2년차엔 정책주=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새해 개장 뒤 주춤한 금융시장의 새로운 이슈는 내수활성화가 될 전망이다. 엔화 약세 때문에 국내 수출기업의 전망이 어두워진 반면, 박근혜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올해 본격 가동되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는 정부의 경제 활성화 방안을 잘 들여다보면 성장 동력을 얻는 종목이 보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근혜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비정상적 관행의 정상화, 창조경제, 내수활성화를 통해 잠재성장률 4%,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 고용률 70% 수준을 달성하겠다는 일명 ‘474’ 청사진이다. 지난 6일 발표됐고, 기획재정부가 세부 안을 만드는 중이다.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연구원은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 시장 부진 등을 감안할 때 정부는 내수 경기 활성화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의 단언에는 이유가 있다. 대개 새 정부 집권 2년차에는 국정 방향이 보다 분명해지며, 정책 수혜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집권 2년차였던 1999년에는 정부의 벤처 육성책으로 IT 관련주가 붐을 일으켰고, 코스닥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집권 2년차인 2003년에는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관련 종목들이 강세였다. 2009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권 2년차에는 녹색성장 정책으로 신재생 에너지 등 관련주들이 인기를 끌었다.
◇단순 기대감으론 부족=주식시장에서는 서서히 이러한 동향이 드러나고 있다. 올 들어 운수장비, 철강금속, 전기전자(IT) 등 수출주들은 4%대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의약품, 의료정밀, 전기가스, 은행 등 내수주는 1∼5%대 올라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익률을 보인다.
금융투자업계는 박근혜정부에서는 소프트웨어, 보건의료, 교육, 관광 등 서비스업과 환경·에너지 산업이 집중 육성될 것으로 본다. 창조경제의 한 축인 일자리 창출과 연관된 분야라는 해석이다. 강경하게 시행 중인 공공기업 정상화 개혁 역시 세수 확보를 위한 내수활성화 노력으로 분석됐다. 한국가스공사, 한전기술, 한국전력 등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시선이다.
다만 정책 수혜주 역시 이슈만 요란하고 실적이 따르지 않는 테마주가 아닌지는 투자자들이 판단할 부분이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최근 DMZ테마주 등 스스로 정책 수혜주임을 주장하는 종목이 많았지만, 기대감이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은 사례가 많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실제 정부 지원이 뒤따르는지, 해당 종목의 실적이 뚜렷한지 살펴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