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상설화 합의했지만 의원들 기피… 여야, 정보위 미달사태 차단 고심

입력 2014-01-14 01:36


여야가 연말 국회에서 진통 끝에 국회 정보위원회 상설화(전임 상임위)에 합의했지만 선뜻 위원회에 참여하겠다는 의원들이 별로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보위는 북한 관련 고급 정보를 다루지만 의원들의 지역구 관련 사업과 연관성이 없어 비인기 상임위로 분류된다. 일단 지역구 민원 사업에 도움이 안 되고, 하다못해 출판기념회를 하더라도 책을 사줄 사람이 별로 없다. ‘빛 좋은 개살구’라는 평가다.

상설화를 강력히 주장했던 민주당은 당근책을 내놓고 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지난 5일 국민일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정보위원의 예결위원 겸임 카드를 꺼내들었다. 겸임 상임위인 예결위는 ‘돈’을 만지는 곳이다 보니 선호도가 높다. 전 원내대표는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나서는 “대권 예비주자가 거쳐 가는 곳으로 포지셔닝해야 한다”고 정보위를 띄우기도 했다.

새누리당 지도부 고위관계자도 “다른 상임위와 겸임하고 있는 지금도 정보위는 인기 없는 상임위 3등 안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물론 정치력이 있는 중진의원에게 나쁘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일각에서는 외교통일위원회와 합쳐 외교통일정보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도 나온다. 북핵 사안은 외교부, 장성택 처형과 같은 북한 내부 사안은 통일부와 업무 연속성이 있다는 게 이유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2월 임시국회에서 정보위원 배치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그때까지 정보위 예상 정원인 약 10명을 채울지 미지수다. 만일 정보위 미달 사태가 실제로 발생한다면 틈만 나면 국익을 주장하는 국회의원들이 꽤나 부끄러워질 것 같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