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막아라”… 금감원 팔 걷었다

입력 2014-01-13 03:47

최근 금융권의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에 금융감독원이 칼을 빼들었다. 금감원은 휴일인 12일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하고 정보유출 재발방지책에 대해 논의했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이날 “정보유출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어떤 식으로 이를 막아야 하는지, 재발방지 대책은 어떤 게 있는지 고민해 보기 위해 오늘 긴급회의를 소집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현재 바젤위원회 최고위회의 참석차 출장 중인 최수현 금감원장의 지시에 따라 열렸다. 최종구 수석부원장 주재로 열린 회의는 오후 3시부터 1시간가량 이어졌다.

금감원 임원들이 휴일을 마다하고 모일 정도로 정보유출은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 8일 창원지검은 KB국민·롯데·NH농협카드에서 1억건이 넘는 고객정보가 새나간 것을 확인하고 관련자를 구속했다. 지난달에는 한국SC·한국씨티은행에서 13만건에 달하는 고객 대출정보가 유출되기도 했다. 씨티은행과 SC은행 조사 과정에서 압수한 USB에는 저축은행과 할부금융사에서도 최대 수십만건의 고객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사실상 모든 금융권에서 고객정보가 유출됐다.

금감원은 이날 회의에서 전 금융권 정보보호책임자를 긴급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은행·카드·증권·보험사, 금융관련 협회, 대형 캐피털사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들이 13일 오전 10시 금감원에 모두 참석한다. 참석 대상이 된 금융사는 무려 76곳에 달한다. 금감원 창설 이후 전 금융사의 정보보호담당자가 모두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처음이다.

금감원은 이 자리에서 고객정보 유출사건의 대응 현황에 대해 상세히 보고받을 계획이다. 금융사들의 고객정보 관리와 유출방지 대책에 대해서도 논의하기로 했다.

금감원 송현 IT감독국장은 “금융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다시 한 번 점검을 하도록 하기 위해 13일 회의를 소집하는 것”이라며 “정보유출 사건의 심각성을 제대로 알리고, 사고발생 시 엄격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을 재강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정보유출 금융사 처벌 강화 등 구체적 재발방지책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송 국장은 “수위 등에 대해서는 현재 문제가 된 회사의 조사가 끝난 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삼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