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전담 경찰관 경찰서에 배치

입력 2014-01-11 02:35

치매를 앓고 있는 부산 화명동 김모(78·여)씨는 지난해 4월 실종됐다. 가족들이 경찰에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온 가족이 일손을 놓고 김씨를 찾아 나섰지만 허사였다. 결국 김씨는 실종 2개월여 만에 경남 양산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치매노인 실종사건 발생 시 가족들이 생업을 접은 채 애를 태우는 것은 물론 경찰 인력이 대거 동원되는 등 사회적 비용도 막대하다. 치매 노인이 언제 집을 나가 배회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지키느라 가족들이 지치는 경우가 많다.

부산경찰청이 10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관내 모든 경찰서에 ‘치매 전담 경찰관’을 배치하는 등 치매 환자들의 실종 예방과 찾기 프로젝트를 마련, 시행에 나섰다. 슈퍼주니어 이특씨의 아버지가 치매를 앓던 부모를 모시다 힘든 나머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을 계기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치매 환자 실종 예방 프로젝트는 부산경찰청을 시작으로 전국 경찰로 확대될 전망이다.

부산경찰청은 치매노인실종팀을 신설하고 15개 경찰서에 치매 전담 경찰관을 배치키로 했다. 전담 경찰관은 지역별 치매 노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이들을 등급별로 분류하고 실종 위험이 높은 사람을 중심으로 특별 관리하게 된다.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배회 감지기’를 활용해 실종 사건 발생 때 신속하게 주변을 수색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배회 감지기 구비를 위한 예산 확보도 추진 중이다.

또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인 ‘앰버경보’를 치매 노인 실종 사건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치매 노인 실종 사건이 접수되면 시내버스 전광판과 도시철도 승강장, 버스 정보안내기, 택시회사 등에 관련 정보가 자동으로 전파되는 시스템이다.

경찰청은 여성과 청소년을 위해 여성청소년계를 설치한 것처럼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 노인장애인계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노인장애인계를 만들기로 하고 안전행정부와 협의 중”이라면서 “사회적 약자인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전담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치매 인구는 2008년 42만1000명에서 2012년 53만4000명, 2013년 약 58만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치매 환자 실종 사고는 2009년 5573건, 2010년 6569건, 2011년 7604건, 2012년 7650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이금형 부산경찰청장은 “치매는 천형(天刑)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고통을 주는 등 심각한 문제”라며 “치매 노인 실종 예방 시스템이 정착하려면 보호자의 신상정보 사전 등록제 참여와 시민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