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단독] 조기 전대론 일축한 황우여 ‘비대위+선대위’ 양대 체제 제시

입력 2014-01-10 01:32

새누리당이 황우여 대표 임기가 종료되는 오는 5월부터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점까지 비상대책위원회를 띄울 전망이다. 황 대표는 당내 일각의 조기 전대 실시 주장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비상대책위원회+선거대책위원회’의 양대 체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비대위 체제가 가시화되면서 마침 5월 선출되는 차기 원내대표가 위원장을 맡게 될 가능성이 커 ‘비대위원장-원내대표’를 차지하기 위한 당내 권력투쟁도 본격적인 이슈로 떠오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의 비대위 구상은 ‘지방선거 직전 전대’ 카드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졌다는 판단에서 나왔다. 황 대표는 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임기 만료 시점인 5월 15일이 지방선거 직전이라서 전대를 치르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조기전대론’에 대해선 “2∼3월에 미리 하면 좋지만 당이 시끄러워질 수 있어 걱정이 많다”며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

조기 전대의 문제점으로는 새로운 당 대표에게 선거부터 치르게 하는 부담과 함께 매번 5월에 전대를 치르는 관행이 향후 ‘4월 총선’과 ‘6월 지방선거’ 일정과 계속 겹치게 되는 난점을 지적했다. 때문에 당내에서는 7월 재·보궐선거까지 치른 뒤인 7∼8월이 적기로 꼽히고 있다.

조기 전대가 무산될 경우 비대위 설치는 필수적이라는 것이 당직자들의 설명이다. 당 대표 임기를 2년으로 못 박고 있는 당헌·당규를 개정하지 않는 한 현 대표의 임기 종료 시점인 5월 최고위원회의가 자동 해산되는데 당무를 총괄하는 최고위의 권한을 대체할 수 있는 기구는 비대위가 유일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황 대표는 지방선거 기간에 집중될 선거 관련 당무는 선대위에 집중시키고, 범위가 축소된 최고위의 권한과 하반기 원(院)구성 등 원내지도부의 고유 권한을 차기 원내대표가 위원장을 맡는 비대위에 일임한다는 구상이다. 선대위에 대해서는 각 권역을 대표하는 의원이 위원장을 맡아 각 지역 출마자의 당선을 돕는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를 제안했다.

하지만 양대 체제를 띄워 원내대표가 권력의 한 축을 맡는 방식이 실현될 경우 차기 원내대표의 권한이 지금보다 오히려 더 커지게 돼 경선 경쟁이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선대위의 경우 지방선거가 끝나면 활동기간이 종료되지만, 비대위는 전대가 치러질 때까지 남게 돼 7월 재보선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등 권한이 막강해진다는 지적이다.

현재까지 차기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할 것으로 거론되는 인사는 남경필 의원, 이주영 여의도연구원장, 홍문종 사무총장, 김기현 정책위의장, 이완구 의원 등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