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야당의 朴대통령 ‘불통’ 비판 옳다”
입력 2014-01-09 03:31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은 8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기되는 ‘불통 논란’에 대해 “그 점에 대해서는 야당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한다”면서 “뭔가 대화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부산·경남 민영방송 KNN과의 인터뷰에서 “(상대방이) 틀린 얘기를 하더라도 들어주는 모습이 우리 정국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또 철도노조 파업 철회를 중재한 것과 관련해 “비교하기 조금 안 맞는 표현이지만 옛말에 ‘도둑을 잡더라도 퇴로를 열어두고 잡아야 한다’는 말이 있다”면서 “불법 파업을 한 것은 틀림없지만 (노조원들도) 어쨌든 우리 국민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파업 철회) 합의 조건에 노조가 아무런 단서조항을 달지 않은 것은 결국 백기투항”이라면서 “그것을 안 받아주는 것은 너무 가혹하며 받아준 게 잘했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원로들로 구성된 상임고문단 3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만찬회동에서도 소통이 화제로 올랐다. 박 대통령은 “경제정책이든 통일정책이든 모든 게 국민의 이해와 공감을 이뤄야 효력이 난다”며 “그러한 노력을 해왔고 앞으로도 계속 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법과 질서, 원칙을 지키면서 국정을 운영해 나가겠다”면서 “원로들도 함께해 달라”고 협조를 구했다.
상임고문단 회장인 김수한 전 국회의장을 시작으로 참석자들은 한 명도 빠짐없이 발언 기회를 가졌다. 박 대통령은 경청하며 주요 내용들을 메모했다고 한다. 발언이 끝나면 “좋은 말씀 해 주셔서 감사하다” “귀를 기울이겠다”고 일일이 화답했다.
소통을 강조한 조언도 이어졌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은 “민주주의에서는 정당 정치가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정당과의 대화가 소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 참석자가 여권 내에서의 소통문제를 지적하며 “당·정·청 회의를 일주일에 한 번은 해야 한다”고 하자 박 대통령은 “이미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또 다른 참석자는 “아무리 좋은 정책이 있어도 언론이 제대로 알리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면서 ‘언론 담당 특임장관’ 임명을 제안했고, 대통령도 취지에 깊이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철현 전 주일대사가 “‘대박’은 ‘대통령 박근혜’를 뜻하는 것으로, 통일을 이루는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덕담을 건네자 박 대통령은 활짝 웃으며 감사의 뜻을 나타내기도 했다.
박 대통령과 원로들은 별도 헤드테이블 없이 대형 탁자에 둘러앉아 2시간 넘게 식사를 함께 한 뒤 기념촬영을 했다. 메뉴는 퓨전 한식이었고, 포도주를 곁들였다고 한다. 청와대쪽에선 박준우 정무수석과 이정현 홍보수석이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춘 비서실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권지혜 유동근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