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장관 회담] 日 아베 야스쿠니 참배·과거사 문제
입력 2014-01-09 02:13
윤 장관은 “美와 광범위한 공감대 확인”
케리 국무는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7일 회담에서 북한 문제에 이어 일본 과거사 문제가 주요 의제였다.
윤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방미를 계기로 일본 지도층의 역사수정주의적 태도에 대해 우리의 엄중한 인식과 입장을 분명하고 충분하게 설명했다”며 “미국 조야와 의회 고위 인사들과 광범위한 공감대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특히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역내 화해와 협력 추세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라고 규정했다. 윤 장관은 정부 입장을 케리 장관 외에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을 비롯한 오바마 행정부의 고위 정책결정 라인에 전달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과거에 보기 힘들 정도로 미 행정부 전반에 일본 정부의 행보에 대한 실망감 이상의 감정이 팽배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이번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계기로 미·일 간의 외교 일정과 교류 사업에 이미 적지 않은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확인됐다는 게 정부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고위 당국자는 “미국 측은 그동안 일본에 대해 수차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자제해주도록 요청했음에도 이 같은 사태가 빚어진 데 대해 크게 실망했다는 반응”이라며 “이번 사태가 없었다면 있었을 수 있었던 일들이 일어나지 않은 것도 이런 기류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베 정부의 역사 퇴행적 행태에 대한 미국 측 불만이 일본에 대한 압박으로 나타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이날 국무부에서 열린 양국 외교장관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케리 장관은 과거사 이슈를 비롯해 대(對)일본 관계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윤 장관이 미 행정부와 의회, 학계·싱크탱크 등을 연쇄 접촉하면서 아베 총리 행보의 문제점을 전력을 다해 비판했음에도 미 외교정책 수장의 ‘입’을 열게 하지는 못한 셈이다. 미국의 이 같은 태도는 일본 과거사 문제와 안보협력을 분리하는 정책 기조가 확고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