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 위험 6개 기업, 2014년 만기 회사채 3조 육박

입력 2014-01-09 02:13


기업들의 자금 조달 사정이 불안하다. 취약 기업의 회사채 발행은 계속 어려워지는 가운데 올해 중 만기가 돌아오는 물량이 대거 예정돼 있어 건설, 해운 등 부실 업종의 부실화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8일 금융위원회와 삼성증권 등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규모는 지난해보다 2조5000억원이나 늘어난 41조2000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이 중 신용등급 A등급 미만인 물량이 16조1000억원에 이른다는 점이다.

우량기업은 회사채 만기 후 재발행에 문제가 없지만 부채비율이 높거나 재무구조가 악화된 한계기업의 경우 회사채 재발행이 어려워 당장 자금난에 직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신용등급 AA- 이상 기업의 회사채 순발행액은 17조2000억원이었던 반면 A등급은 -2조4000억원, BBB+ 이하는 -3조6000억원으로 크게 엇갈렸다. 금융위도 이날 올해 금융부문 전망에서 “최근 심화된 회사채 시장 양극화 현상이 당분간 지속되면서 기업자금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최근 부실계열사를 지원하다 동반 부실 위험에 노출된 기업들의 회사채, 기업어음(CP) 올해 만기 물량만도 3조원에 육박한다. 하이투자증권이 대한항공·한진해운, 현대엘리베이터·현대상선, 대성산업가스·대성산업 등 6개 기업의 회사채·CP 만기 도래 일정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만기 물량만 2조855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현재 각각 지분 매각 등의 자구책을 마련해놓은 상태지만 해운·건설업 등 사정이 안 좋은 상황에서 향후 성공 여부가 불투명하다. 당장 올해 회사채 만기 도래 물량을 해소한다 해도 취약 업종의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전반적인 부실이 커져 신용도가 훼손돼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룹 내 비중을 차지하던 기업이 유동성 위기에 처했을 때 지원에 나섰다가 견실한 업체도 함께 부실해져 신용등급이 강등하면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업황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해운·건설·중소형 조선 등 업종과 비우량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