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구례군 협력해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

입력 2014-01-08 14:55

[쿠키 사회] 전남의 명산으로 유명한 백운산의 국립공원 지정 추진을 위해 전남 광양시와 구례군이 힘을 모았다.

광양시와 구례군은 지난 7일 광양시청에서 백운산 국립공원지정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회의를 갖고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성웅 광양시장과 서기동 구례군수, 이정문 광양시의회 의장과 김성현 구례군의회 의장, 정용성 백운산 국립공원지정 추진위원회 상임대표, 이강두 지리산 찾아오기 군민행동 공동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교육부, 환경부 등 중앙부처에 전달할 예정이다.

백운산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부터 동경제국대학에서 34년간 연습림으로 관리·운영하다가 해방 후 미군정청이 1946년 서울대에 80년간 대부해(2026년 종료) 현재까지 학술림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양 지자체는 이날 공동건의문을 통해 “2010년 12월 제정된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단지 서울대가 학술림으로 관리·운영하고 있다는 사유만으로 국가와 국민의 재산인 백운산을 서울대에 무상양도하려 하고 있다”며 “백운산은 명명백백하게 국가와 국민의 공공자산으로 서울대법인에 일방적으로 무상양도해서는 안될 것”이다며 백운산이 지역 주민들의 소중한 자산임을 강력 주장했다.

이어 “광양·구례 주민들은 백운산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 지역과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서 국민 모두가 사랑하는 명산으로 온전히 보존 되도록 백운산 국립공원지정에 적극 협조하여 줄 것을 간곡히 건의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광양·구례 주민들은 2012년 5월 서울대법인에게 무상 양도할 수 없으며, 백운산을 국가소유인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달라는 건의문을 환경부에 전달한 바 있다.

특히 지역 국회의원들도 지난해 11월 공동으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정부의 조속한 입장정리를 촉구하는 건의문을 발표했다.

광양=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