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7년까지 97개 사업 추진… 창업·물가분석·방범 ‘해결사’ 빅 데이터 활용 확 늘린다
입력 2014-01-08 01:33
범죄기록과 유동인구, 주민신고 정보, CCTV 위치정보 등을 분석해 장소·시간대별 범죄확률을 예측한다. 기존 관서 및 행정동 위주로 짜여진 경찰의 치안활동은 범죄 위험 예측분석 결과를 반영해 ‘치안 블록’ 단위로 개편된다. 이를 바탕으로 순찰차를 사전에 배치하는 등 선제적인 치안 활동을 펼쳐 범죄 발생을 줄이고 신속한 수사를 가능케 한다. 최근 경찰이 도입하기 시작한 빅 데이터를 활용한 범죄예방 기법이다. 빅 데이터는 기존 데이터에 비해 크기가 방대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순환 속도가 빨라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수집하거나 분석하기 어려운 디지털 데이터를 말한다.
앞으로는 비행·범죄·성매매 위험 등에 노출된 위기청소년들의 조기발견과 이들을 위한 상담 등이 지금보다 훨씬 쉽게 이뤄질 전망이다. 또 소상공인이 창업을 할 때 해당 점포의 과거 개·폐업 이력, 추정매출, 입지분석 등의 정보를 미리 알고 해당 점포에 가장 적합한 업종을 찾는 데 도움을 받게 된다.
정부는 7일 빅 데이터 활용 확대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2017년까지 97개 빅 데이터 활용사업이 추진되고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정책 수립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심야시간 통화량 분석을 통해 심야 버스의 노선과 배차간격 등을 조정키로 했다. 서울 전역을 지름 1㎞ 1252구역으로 나눠 심야시간의 통화량을 분석해 유동인구의 밀집도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노선별, 요일별로 유동인구 패턴을 분석해 심야버스 노선을 검증하고 보완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수요가 많은 곳에 심야버스가 집중적으로 배차돼 승객들이 밤늦도록 줄을 서 버스를 기다리는 일이 줄어들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병원 환자진료기록정보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등재된 의약품 부작용 정보 등을 분석하기로 했다. 촘촘한 부작용 정보 수집을 통해 의약품의 위해 요인을 미리 발견하고 선제적으로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날 보고된 내용 중 안전행정부·미래창조과학부가 중점지원 과제로 선정한 국민생활·안전, 일자리 창출 및 국정과제 관련 23개 사업은 우선적으로 예산이 지원된다.
올해에는 암 정복을 위한 유전정보 연계 공공데이터 플랫폼 개발 등 25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지난해 완료된 여성가족부의 ‘위기 청소년 조기경보’, 경찰청의 ‘범죄확률 사전예측’, 통계청의 ‘일일 물가분석’ 등 주요 과제들도 본 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