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정부, 北에 이산상봉 실무접촉 공식 제의
입력 2014-01-07 01:42
정부는 6일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할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고 공식 제의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통해 이달 말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고 제안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통일부는 오후 3시 판문점 남북 연락 채널을 통해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오는 10일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열자고 제안했다. 통일부는 이런 내용의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 통지문을 강수린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 측이 우리 측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오기를 바란다”며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 재개로 첫 걸음을 잘 떼어서 남북관계에 새로운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우리 측 제안에 동의하면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시기와 장소 등 실무적인 문제를 논의하게 된다. 남북이 행사 개최에 합의하면 이산가족 명단 교환, 생사 확인 등 실무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폭 줄일 수 있다.
남북은 지난해 추석 직후인 9월 25일부터 30일까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하고 관련 절차를 이미 쳤으나 북한이 상봉 나흘 전 갑자기 ‘무기한 연기’ 방침을 밝혀 무산됐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이명박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2010년 10월을 마지막으로 만 3년 넘게 중단됐다.
정부는 또 대통령 기자회견 직후 김동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차관회의를 열어 후속조치로 경제혁신(15개), 통일시대 기반 구축(6개), 국민역량 강화(6개) 등 3개 분야 27개 과제를 선정했다. 김 국무조정실장은 후속조치 과제별 실행 계획을 올해 부처별 업무보고에 반영해 최우선으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