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통일은 대박… 북핵 위협 있으면 경협도 공동발전도 없다”

입력 2014-01-07 02:47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통일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한 것으로 한반도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위해 세 가지 구체적인 조치도 제시했다.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인도적 교류·지원을 통해 남북한의 대립을 해소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통일이 이뤄져야 대한민국이 진정한 경제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통일은 경제 대도약 기회”=박 대통령은 통일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하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통일무용론’과 ‘통일회의론’을 정면 반박했다. 박 대통령은 “세계적 투자전문가가 ‘남북통합이 시작되면 자신의 전 재산을 한반도에 쏟겠다. 그럴 가치가 충분히 있다. 만약 통일이 되면 우리 경제는 굉장히 도약할 수 있다’고 말한 보도를 봤다. 저는 한반도 통일은 우리 경제가 대도약할 기회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박 대통령은 먼저 한반도 평화를 언급했다. 안보태세를 굳건히 하고 한반도 평화의 최대 장벽인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히 북한의 핵위협이 있으면 어떤 남북경협, 교류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고 공동발전도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북한 주민이 굉장히 열악한 생활환경 속에서 고통 받고 있기 때문에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 확대해 나가고 남북 간 주민 간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건전한 민간교류도 확대하고자 한다”며 대북 인도적 지원 강화를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경험이 풍부한 유럽 비정부기구(NGO)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구체적인 인도적·민간 교류로 농업과 축산업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외교적 노력을 앞으로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해서 역내 모두에 도움이 되는 한반도 통일, 주변 국가들의 공동번영이 선순환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민간 교류 확대와 국제협력 강화를 강조함에 따라 5·24 대북제재 조치 유연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특히 유라시아 철도 사업을 언급한 것은 남북과 러시아가 참여하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경협도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남북정상회담에는 ‘신중’=박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와의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선 “북한 지도자를 언제든 만날 수 있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회담을 위한 회담이 돼서는 안 된다”며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회담이 되고 그런 환경이 돼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또 김 제1비서의 남북관계 개선 제안에 대해서도 “그 자체에 대해서는 환영한다”면서도 “그런데 중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행동이고 또 진정성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정세에 대해 “작년에 장성택 처형을 보면서 우리나라 국민뿐 아니라 세계인들이 참으로 북한 실상에 대해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북한이 어떻게 될 것이고, 어떤 행동으로 나올 것인지는 세계 어느 누구도 확실하게 말할 사람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도 특정상황을 예단하기보다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모든 시나리오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