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 워싱턴 도착… ‘日 도발행위 자제토록 설득’ 미국 역할 주문할 듯

입력 2014-01-07 02:43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에 도착해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윤 장관은 사흘간 미국에 머물면서 존 케리 국무장관과의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물론 척 헤이글 국방장관, 로버트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상원 외교위원장 등과도 두루 면담할 예정이다.

특히 7일 오후 이뤄지는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출범 2년차에 접어든 박근혜정부의 첫 고위급 외교 이벤트다. 양국 간 현안인 북핵 문제는 물론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를 폭넓게 협의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핵심 의제는 장성택 처형 등으로 한층 불안정해진 북한 문제가 될 전망이다. 북한이 내부 결속 차원에서 1월 하순부터 3월까지 대외 도발을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 만큼 한·미 동맹을 기본 축으로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 장관은 워싱턴의 한국전 참전 기념관에 헌화한 뒤 “북한 정세와 동향은 한국과 미국의 주요 관심 사항으로, 앞으로 수년간 적용될 대북 정책 기조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한층 불안정해진 한·미·일 3각 공조 및 동북아 정세도 주요 의제다. 윤 장관은 케리 장관과 헤이글 장관에게 한·미·일 3각 공조를 위해선 일본이 도발행위를 자제하도록 미국이 설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일본의 국내 정치 문제는 한·일 양자 차원만이 아니라 국제 사회가 모두 우려하는 사안이 됐다”며 “미국 주요 지도층을 만나 우리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군사동맹국인 일본을 고려해야 하는 미국으로서는 우리 측의 강력한 입장을 일본에 전달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회담 직후 이뤄지는 공동기자회견이 약식으로 진행되는 것 역시 이런 차원이라는 분석도 있다.

회담에선 이 밖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협상,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협상 등 양자 현안도 논의된다. 윤 장관은 기자회견 뒤 워싱턴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협의 내용을 브리핑할 예정이다.

남혁상 기자,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