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착한 사회 대표적 덕목은 기독교적 소명의식

입력 2014-01-06 01:47

2014년 한국사회는 ‘선한 사마리아인’이 필요하다

국민일보가 6일 ‘착한 사회 만들기’ 대장정을 시작했다. 본보는 ‘착한 사회’ 시리즈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선한 공동체 ‘착한 사회’를 만들어갈 방법론을 고민하며 대안들을 실천해 가고자 한다. 본보는 창간 25주년을 맞아 지난해말 ‘착한 사회, 착한 교회, 착한 신문’을 2014년 어젠다로 제안한 바 있다. 6일자 기획기사 ‘학교를 떠난 아이들을 품자’는 착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첫 어젠다이다.

지난 40년간 한국은 세계가 놀랄 정도로 비약적인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룩해 왔다. 한국은 세계 8대 무역대국에 1인당 국내총생산(GDP) 2만5000달러의 문턱을 내다보고 있다. 숱한 난관을 극복하며 온 국민이 합심해 이룩한 오늘의 위상은 머지않아 선진국 반열에 도달할 것이란 꿈과 희망을 갖게 했다. 반면 물질적 성장에 치우쳐온 나머지 전통적 가치와 정신적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퇴조해 버렸다. 물질만능과 배타적 이기주의, 도덕 및 윤리의식 실종, 정의감 상실 등 몰(沒)가치 폐해가 광범위하게 배태되어 왔음을 결코 부인할 수 없다. 가치상실의 시대라는 지적이다 .

새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국민들은 일그러진 우리사회의 단면을 목격했다. 이념의 극한 대결과 노사 대립, 소통 부족, 빈부 갈등, 양극화, 부정부패는 국민들에게 좌절감을 심어주었다. 선진국은커녕 여기서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과 절망도 떨칠 수 없었다. 지난해 12월 문화체육관광부 여론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8명은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 타인을 배려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본보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가 같은 시기 실시한 조사에서 착한 사회의 키워드는 ‘공정과 평등’이었다. 이어 착한 사회가 되려면 가장 노력이 필요한 집단으로 ‘국민 개개인’을 꼽았다.

우리 주변에서 어느 때부터인가 ‘잘되면 내 탓, 잘못되면 네 탓’이란 비뚤어진 의식이 고착화되어 버렸다. 남에 대한 배려와 나눔보다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지나친 경쟁구조가 사회구조 전반의 가치관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 그 후유증은 너무나도 크다.

2014년 우리는 새롭게 가야 한다. 먼저 그늘진 사회, 소외된 이웃을 돌아보아야 한다. 사회적 룰을 무시하는 반칙들이 더 이상 공정과 평등을 깨뜨려서는 안 된다. 모두 ‘내 탓이오’라는 사회적 반성 아래 착한 사회로 가는 진단과 해법을 찾아야 한다. 착한 사회로 가는 대표적인 덕목은 기독교적 소명의식이다. 이를 위해 타인에 대한 관용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톨레랑스(Tolerance), 그리고 정의와 나눔을 위한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가 가장 절실하다.

갈등과 분열의 한국사회에 지금 ‘착한 사마리아인’들이 필요하다. 보다 더 남을 배려하고, 생각의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대화하며, 관용과 나눔을 실천하는 착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본보는 올해 기독교 소명의식으로 착한 사회를 향한 모든 노력들을 실천해 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