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취임 후 첫 국내 기자회견…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입장 표명 등 주목
입력 2014-01-06 01:45
박근혜 대통령이 6일 내외신 기자회견을 통해 밝힐 국정운영 구상에는 비정상의 정상화 방안 외에 북한 및 일본과의 관계,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 등 민감한 이슈들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오전 10시 청와대 춘추관에서 새해 구상을 먼저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할 예정이다. 정홍원 국무총리 이하 국무위원들이 모두 배석한 가운데 총 70여분 진행될 회견은 TV를 통해 전국에 생중계된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5일 브리핑에서 “단순한 모두발언 정도가 아니라 박 대통령이 오래 전부터 준비한 국정 구상을 발표하는 것”이라며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정책과 외교, 안보, 문화, 교육, 지방, 복지 등 국정 전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회견 제목이 ‘신년 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으로 정해진 배경에 대해선 “발표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회견을 다 비중 있게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이 국내에서 기자회견을 여는 것은 취임 이후 처음이다. 취임 직후인 지난해 3월 4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야당에 촉구하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고, 해외 순방 때는 기자회견을 가진 적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회견이나 간담회를 하지 않아 ‘불통(不通)’이라는 비판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회견은 불통 논란을 해소하는 성격도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회견의 형식과 함께 박 대통령이 발표 및 질의응답 과정에서 각종 현안에 대해 내놓을 입장도 주목된다. 이미 신년사를 통해 ‘경제 활성화, 비정상의 정상화 개혁, 평화통일 기반 구축’이라는 개괄적인 메시지를 던졌고, 지난 3일 청와대 신년인사회에서는 “올해 한반도에 평화를 구축해 통일시대를 열어야 한다. 일자리 창출로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앞당겨야 한다”고 제시한 상태다. 기자회견에서는 더 가시적인 청사진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 성과를 내겠다는 입장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박 대통령이 그동안 소극적·원론적 입장만 밝혔다고 지적받는 국내 정치 현안에 대한 발언이 관전 포인트다. 여권 내부에는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해 집권 1년차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그 결과 사회적 갈등이 커져 국정운영의 발목이 잡혔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신년인사회에서 제안한 특검 도입과 사회적 대타협위원회 구성에 대한 답변이 나올지도 관심사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